저 새로 난 꽃과 잎들 사이
그것들과 나 사이
미소는,
어디로 가시려는가
무슨 길을 걸어서
새파란
새파란
새파란 미소는,
어디만큼 가시려는가
나는 따라갈 수 없는가
새벽 다섯 시의 감포 바다
열 시의 등꽃 그늘
정오의 우물
두세 시의 소나기
미소는,
무덤가도 지나서 저
화엄사 저녁 종 지나
미소는,
저토록 새파란 수레 위를 앉아서
나와 그녀 사이 또는
나와 나 사이
미소는,
돌을 만나면 돌에 스며서
과꽃을 만나면 과꽃의 일과로
계절을 만나면 계절을 쪼개서
어디로 가시려는가
미소는,
웃음이 다소 범박한 세속의 방식이라면 미소는 조금 더 상승의 기류라 하겠다. 물론 이때의 상승은 수직이 아니다. 미소는, 온갖 불순물을 걸러내고 소리마저 넘어선 염화시중(拈華示衆)의 나라이다. "저 새로 난 꽃과 잎들 사이/ 그것들과 나 사이"에 나누는 고요한 눈빛의 메시지. 그러니까 미소는, 입술의 영역이 아니라 눈의 차원인 것이다. 천리안이거나 축지법이거나, "새파란" 미소가 만물 위/사이를 종횡무진, 미끄러지듯 스쳐간다. 미소가 닿는 곳마다 때죽나무 꽃그늘처럼 환해진다. "미소는 어디로 가시려는가" 하고 거듭 던지는 시인의 물음이란, 사실은 독자에게 내미는 산수국의 헛꽃 같은 것이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