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지방선거에서 패배한 여권의 국정 쇄신 방향이 주목된다. 참패의 원인을 놓고 여권 내에서도 오만과 소통 부재의 독선을 지적, 어떤 식으로든 국정 운영 방향의 수정이 필요하게 됐다. 당장은 한나라당 지도부가 사퇴하고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각료와 청와대 참모 및 여당 지도부의 인적쇄신 가능성이 커졌다. 당정청 핵심 자리의 교체는 선거에 나타난 민의를 수용하고 국정 운영의 방향과 묘를 새롭게 살린다는 취지에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 선거 결과는 정부 각료와 청와대 참모 및 한나라당 지도부의 교체만을 요구한 것이 아니다. 사람 몇몇을 갈아 치우는 차원에서 나아가 국정 운영 전반에 대한 근원적인 반성과 전환을 요구한다. 향후 국정 운영이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에 대한 성찰과 실천이 없다면 이명박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순항을 기대하기 어렵다.
공천 과정에서 재현된 정치권의 이기적이고 타성적인 관행과 자세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국회의원들이 자신들의 이해관계만을 앞세운 공천을 강행, 불협화음이 끊이지 않았고 비난 여론도 비등했다. 국민의 손으로 선택된 국회의원이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지를 의심케 하기에 충분했다. 이른바 친이 친박의 패 갈림 역시 국민적 반감을 불러왔다.
세종시 수정안과 4대강 사업은 국민의 찬반이 엇갈리는 국가 핵심 사업이다. 이 대통령은 선거 이후 '기존 정책은 흔들림 없이 추진돼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연히 맞는 말이다. 국가 정책은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다수의 국민들이 이들 사업에 반대해 온 야당의 손을 들어준 만큼 지금이라도 반대의 목소리를 듣고 설득과 이해를 구해야 한다. 청년실업 대책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실질적인 노력도 절실히 요구된다.
천안함 사건으로 예상됐던 북풍은 보기 좋게 엇나갔다. 되레 역풍을 불렀다는 진단마저 나온다. 역풍은 국가 지도자는 국민들을 불안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새삼 강조해 준다. 도발을 한 북에 대한 응징이 필요하다면 말에 앞서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 행동은 유보한 채 말로만 단호한 조치를 연발한 탓에 적잖은 국민들이 불안해한 것이다. 공직은 국민을 위해 존재하는 자리다. 국민에 대한 봉사와 희생이 우선돼야 한다. 대통령을 비롯한 국가 지도자의 덕목에는 불굴의 용기와 함께 겸손과 포용의 자세가 포함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