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와이브로 서비스 시작
바쁜 출근길, 김모씨는 스마트폰을 꺼내들었다.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도착 시간을 미리 검색하기 위해서다. 덕분에 일찌감치 나가 고개를 내밀고 버스를 기다릴 일이 없다. 버스를 타고 자리에 앉자마자 김씨는 넷북을 꺼내 인터넷에 접속한 뒤 그날의 주요 뉴스를 검색한다. 중요한 고객과 적당한 점심 약속 장소를 잡기 위해 주변 맛집을 검색하는 일도 잊지 않는다. 짬을 내 세계 증시 현황을 체크하고 요즘 유행하는 아이돌 그룹의 뮤직비디오도 찾아본다. 외근 중에도 문서를 검색하고 급한 결재는 스마트폰으로 해결한다.
올 10월이면 이런 상상이 현실이 된다. 초고속무선인터넷인 와이브로(WiBro)망이 구축되고 공짜로 인터넷을 쓸 수 있는 와이파이(Wi-Fi·무선랜)존이 크게 늘면서 언제 어디서나 저렴하고 빠른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격적인 유비쿼터스 시대가 열리는 셈이다.
◆달리는 차안에서도 무선인터넷을
KT가 올 10월부터 와이브로 서비스를 시작하면 대구 전역에서 언제 어디서든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 달에 1만~3만원을 내면 스마트폰, PMP, 태블릿PC, 노트북 등 무선인터넷을 지원하는 기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 무심코 휴대전화 인터넷 연결 버튼을 눌렀다가 데이터요금에 놀라 황급히 꺼버리는 일이 사라지는 셈이다. 스마트폰이 아니더라도 와이브로가 지원되는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인터넷 서비스를 즐길 수 있다.
와이브로는 야외에서는 물론, 60㎞ 이하로 달리는 차안에서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기존 3G망인 WCDMA 망을 쓰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요금도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거리나 달리는 차 안에서 온라인게임이나 웹서핑을 하고, 실시간 동영상을 보거나 어학 공부를 하는 일이 현실화되는 것. 이메일이나 문서를 검색하고 결재하는 이동 사무실 역할도 가능하고 지역 명소나 유명 음식점 같은 관광정보나 지하철, 버스 등 교통 정보도 어디에서나 얻을 수 있다.
와이브로 공유기를 이용하면 무선랜 기능을 탑재한 모든 단말기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도 있다. SK텔레콤이 선보인 와이브로 기반 무선공유기 '브릿지'는 노트북이나 휴대전화, 가정용 콘솔게임기 등 최대 7대의 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와이파이존도 크게 확대돼
일정한 지역에 들어가면 무선인터넷을 무료로 즐길 수 있는 와이파이(Wi-Fi)존도 크게 넓어진다. 이동통신사들이 앞다퉈 기존 와이파이존을 두 배 이상 늘리기로 한 덕분이다.
KT는 자사 스마트폰 사용자가 공짜로 인터넷을 쓸 수 있는 '쿡앤쇼 존'을 확대 구축할 계획이다. 지난 1분기 대구 전역에 무선공유기(AP) 3천개를 설치한 데 이어 상반기 중 500곳을 추가로 구축하기로 했다. 각 동 주민센터와 대구은행, 대구시청, 각 성당, 동대구역, 대구백화점, 롯데백화점, 동성로 통신골목, 주요 대학 및 병원 등은 물론, 패스트푸드점과 커피전문점, 영화관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언제나 무선인터넷을 공짜로 쓸 수 있게 되는 것. KT는 올 한해에만 전국에 '쿡앤쇼존'1만4천223곳을 추가로 구축하는 등 와이파이존을 2만7천337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도 전국에 자체 와이파이존인 'T스팟'을 1만여 곳 설치한 뒤, 모든 통신업체의 스마트폰 이용자에게 개방하겠다는 파격적인 계획을 내놨다. SK텔레콤의 T스팟 존에서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넷북 등이 있으면 누구든 무선인터넷을 쓸 수 있다.
3G망 접속이 가능한 휴대전화가 있으면 어디서든 와이파이망을 사용할 수 있는 길도 있다. KT는 최근 유료 3G망 신호를 잡아 와이파이 신호로 전환해주는 휴대형 공유기'단비'(3G 에그)를 출시했다. KT의 무선데이터 요금제인'쇼 스마트 500/1000'등에 가입한 고객들은 휴대전화를 단비와 연결해 와이파이 지역이 아닌 곳에서도 노트북이나 기타 휴대기기로 무선인터넷을 쓸 수 있다. 단, 일반 와이파이존과 같이 무료로 무선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정액 데이터 요금제 사용량에서 가산되는 방식이다. KT는 스마트폰 데이터 정액요금제를 일반 휴대전화로 확대해 일반 휴대전화로도 단비 이용이 가능토록 할 방침이다.
이처럼 언제 어디서든 무선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다양한 공공정보 서비스를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대구시가 무선인터넷 사용자를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는 거의 전무하고, 일부 앱 개발업체들이 대구버스와 지하철 정보를 이용하는 앱을 내놓은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이동통신사들이 앞다퉈 무선인터넷의 망 구축에 나서는 만큼 대구시도 시민들이 공공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교통, 문화, 관광, 생활정보 등 다양한 인터넷 콘텐츠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와이브로(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무선 휴대인터넷 서비스. 휴대형 무선단말기를 이용해 움직이거나 시속 60㎞로 이동하는 상태에서도 고속 전송속도로 인터넷에 접속, 다양한 정보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즉 PC, 노트북, PDA, 차량용 수신기 등에 무선랜과 같은 와이브로 단말기를 설치하면 이동하는 자동차 안이나 지하철에서도 휴대폰처럼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와이파이(Wi-Fi)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LAN).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