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선거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아직 본격적인 선거운동 기간까지는 보름여가 남아 있지만 기초'광역 자치단체장, 의원 선거에 밀려 유권자의 반응은 냉랭하다. 후보마다 교육감 선거는 유권자의 관심 밖이어서 얼굴 알리기도 힘들다고 푸념이다. 지방선거와 함께 치르지만 의외로 투표율이 낮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한다.
이번 교육감 선거는 매우 중요하다. 교육 환경과 정책이 급변하고, 교육에서의 대구'경북의 위상도 크게 떨어져 있다. 이를 회복해야 할 책임이 새 교육감에 달려 있는 것이다. 경북은 지난 보궐선거 때 직접선거로 치렀지만 대구에서의 직접선거는 처음이다. 각종 교육지표가 전국 최하위권인 것을 한탄만 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최선의 후보를 선택해야 하는 의무가 유권자에게 있다.
그동안 교육감 선거는 저조한 투표율과 고비용으로 효율성 문제가 제기됐다. 지방선거 등 다른 선거와 함께 치러진 때를 제외하면 투표율이 거의 20%를 넘지 못했다. 지금도 미미한 열기 탓에 직선제 폐지나 정당공천제, 시장'도지사와의 러닝 메이트제 등의 방법과 피선거권 완화 문제도 나온다. 하지만 이는 교육자치에 역행하는 것이다. 교육감이 정당 공천에 목을 매단다면 교육계를 정치판으로 만들고 교육을 정치에 종속시키는 것과 다름없다.
이번 선거에서 투표율이 낮다면 교육감 선거 방식이 다시 도마에 오를 것이다. 정치권에 이러한 빌미를 주지 않으려면 유권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대적이다. 어떤 교육감을 뽑느냐에 따라 교육 환경은 크게 달라진다. 공교육의 미래가 달려 있는 것이다. 후보자의 많고 적음을 떠나 각 후보의 정책과 공약을 면밀히 검토하는 수고를 아끼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