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에서 주의해야 할 것 중 하나는 바로 생크다. 잘 맞던 공이 생크로 한순간에 무너지기 일쑤다. 특히 드라이브 샷이 좋을 때일수록 더욱 조심해야 한다. 버디나 이글 욕심이 생겨 스윙이 커지고 몸에 힘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생크가 생기는 이유는 뭘까.
어드레스보다 클럽의 길이가 길어지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원심력이 크면 생크가 난다. 생크는 클럽의 호젤(헤드와 축을 연결하는 목 부분)에 공이 맞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원심력은 클럽을 크게 휘두를 때 많이 생긴다. 일정한 원을 그리지 못하고 부정확한 원을 그리기 때문이다.
어드레스 때 만들어지는 클럽과 팔의 상하 및 좌우 각도를 스윙 내내 잘 유지해야 하는데 클럽의 무게나 동작의 변형 때문에 이 각도가 흐트러지면서 팔목이 펴져 전체적으로 클럽이 길어지게 된다.
임팩트 순간에 일직선 스윙(칩샷올카바)을 하면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공이 오른쪽으로 도망가기 시작하면 참을성이 한계에 도달해 결국은 공을 감아치게 된다. 안에서 바깥으로 밀어치는 타법을 생각하게 되고 인-아웃 스윙 궤도를 추구해 슬라이스를 막아보려고 한다. 결국 과도한 인-아웃 스윙 궤도는 클럽의 궤도를 밖으로 유도해 생크를 유발한다.
항상 일정한 무릎 각도를 유지하는 것은 모든 운동에서 필요한 요소이다. 어느 종목이든 무릎의 각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정확성을 크게 높여준다. 무릎의 높이는 일정한 스윙 궤도를 가능하게 한다. 무릎이 움직이는 폭이 클수록 스윙 궤도는 그만큼 불안해진다. 무릎을 과도하게 굽히거나 스윙 중 변화가 생기면 클럽 헤드가 앞으로 튀어나가 생크를 유발하게 된다.
등과 허리의 각도가 굽혀져 숙여져도 생크가 날 가능성이 크다. 숙여진 만큼 클럽 헤드는 앞으로 튀어나간다. 등과 허리의 각도를 항상 일정하게 하는 것은 생크 방지를 위해 필요하다.
칩샷올카바는 처음부터 일직선 임팩트를 강조한다. 일직선 임팩트는 생크가 나타날 가능성이 일반레슨의 회전식 타법보다는 훨씬 적다. 초보 때는 스윙 궤도가 일정하지 않아 생크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지만 조금만 스윙 궤도가 안정되게 되면 생크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한국프로골프연맹(KPGA) 회원
▶www.chipshot.co.kr에서 동영상 해설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