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의료기기 인·허가 원스톱 처리
지역에서 의료기기 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A씨는 황당한 일을 경험했다. 수년 동안 연구한 끝에 개발한 U-헬스 분야 의료기기를 정식제품으로 허가받는데만 꼬박 1년이 걸린 것. 그는 "제품 등록하는 일이 이렇게 힘든지 몰랐다. 누가 가르쳐주는 사람도 없고, 허가 기관인 식약청도 매번 수정·보완하라는 지시만 했지 속시원하게 얘기하지도 않았다"고 했다. "그동안 서울 식품의약품안전청까지 수십 차례 오가며 쓴 시간과 돈 등 손해가 막심해요. 회사를 수도권으로 옮길까 생각도 했어요.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조성 중인 대구에 정작 의료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인·허가 기관 하나 없는데 어떤 기업이 오겠어요?"
A씨의 고민은 조만간 해결될 전망이다. 대구시는 21일 시청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청과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성공조성을 위한 상호협력' 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이날 김범일 대구시장과 노연홍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은 신약 및 의료기기 인·허가 업무를 담당할 식약청 분원을 대구경북의료단지에 설립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고 시 관계자는 설명했다.
현재 대구 달서구에 대구지방식약청이 있지만 의료기업들이 가장 많이 요구하는 인·허가 및 컨설팅 업무는 맡고 있지 않아 그동안 신약 및 의료기기 관련 인·허가 원스톱 서비스 인프라가 절실하다는 요구가 많았다.
경북대 김명남 교수(의공학)는 "서울에 소재한 의료기기 수입업자들 사이에서 식약청이 오송에 갈 경우 인·허가 서비스 때문에라도 업체를 오송으로 옮겨야 한다는 얘기가 나돌 정도"라며 "시제품·완제품 생산에서 인·허가까지 기업들에게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첨단의료복합단지의 목적인 만큼 의료단지가 조성되고 있는 대구에도 식약청의 역할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에 따르면 올 하반기에 설립 예정인 의료단지 조성을 담당할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에 식약청 분원 설립을 준비할 1, 2명의 식약청 직원이 파견될 예정이다. 이후 정확한 인·허가 수요예측 조사를 거쳐 적정 규모의 본청 소속 분원을 대구경북의료단지에 설립한다는 것.
대구시 이상길 첨단의료복합단지 추진단장은 "충북 오송에 식약청 본청이 이전하기 때문에 오송과의 기업 유치전에서 많이 밀릴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대구에도 식약청의 인·허가 권한 유치에 힘써왔다"며 "앞으로 신약 및 의료기기 인·허가 원스톱 서비스는 물론 제품개발 프로세스 전문컨설팅, 정보 제공 등을 통해 투자유치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