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도시공사 비리 '연례행사'…2002년 이후 매년 불거져

입력 2010-04-01 10:17:25

대구도시공사 직원 비리가 잊혀질 만하면 터져나오고 있다. 뇌물수수와 특혜 제공으로 직원들이 검·경에 구속되거나 조사받는 사태가 매년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시민단체들은 "공기업의 근본적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며 "대구시와 도시공사가 관리감독 및 감사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꼬리 무는 비리

지난달 30일 대구도시공사 간부 A씨는 '당연 면직'됐다. 대구지법 형사11부가 시행사를 운영하면서 아파트 재개발사업을 한다고 속여 6억4천여만원의 투자금을 받아 챙긴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징역 2년6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했기 때문이다.

앞서 29일에는 외주업체 공사 관리·감독을 총괄하는 간부 B씨도 직위해제됐다. 검찰이 지난 22일 A씨의 사무실을 전격 압수수색한 데다 휴가를 낸 A씨가 잠적했기 때문이다.

A씨는 구속 중인 이경호 대구시의원의 개인어음을 할인해 준 도시공사 하도급 업체로부터 수년간 수천만원의 뇌물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공사 직원들의 이 같은 비리 의혹은 매년 연례행사처럼 터지고 있다. 2007년에도 달성군 다사면 죽곡 2지구 택지 보상을 잘 해달라는 청탁을 받고 뇌물을 받은 혐의 등으로 당시 관련 직원들이 경찰 조사를 받았다. 2005년에는 도시공사가 달성2차 산업단지에 사용될 오·폐수 관로를 특정 업체 제품으로 설계해 특혜성 논란이 일기도 했다.

비위행위로 사장까지 사직한 경우도 있다. 도시공사 전 사장 C씨는 2002년 지인들에게 아파트 로열층을 공급하라고 청탁한 것이 뒤늦게 밝혀져 2005년 당시 후임사장이던 D씨가 사직했다. 이 일에 가담한 도시공사 직원 20여명은 불구속 입건됐다.

◆대구도시공사 '변해야 산다'

도시공사의 비리와 잡음은 사업들이 '수익'과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도시공사는 아파트 건립, 토지개발 등 각종 수익사업을 맡고 있지만 관리감독 시스템이 부실해 개인 비리가 발생할 소지가 많고 독립성이 보장되지 않아 외부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지방공기업이다보니 일부 정치권이나 유력 인사들의 청탁이 끊이지 않아 의혹과 시비가 꼬리를 무는 구조라는 것이다. 시민단체들은 이 같은 비리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는 인적 쇄신 등 독립성 확보를 위한 대안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조광현 대구경실련 사무처장은 "대구도시공사에는 공무원, 정치권, 공채 출신 등이 섞여 있어 각종 사업에 간섭하는 다른 권력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취약한 구조"라며 "대구시나 시의회에 취약한 공사의 구조를 바꾸기 위해서는 경영은 사장이 맡고 그 성과에 대해서만 책임지는 구조로 가야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시공사 측은 "책임을 통감한다. 그러나 조직적 비리가 아니라 직원 개인차원의 비리 측면이 강하다"며 "비리 의혹이 있는 직원들에 대한 면직, 인사 대기 발령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감사 시스템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