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고요가 벌떡 일어나 한 고요의 따귀를 때리듯
이별은 그렇게 맨발로 오고, 이별은 그렇게
가장 아름다운 낱말들의 귀를 자르고
외눈박이 외로움이 외눈박이 외로움의 왼쪽 가슴에 방아쇠를
당길 듯 당길 듯
까마귀 나는 밀밭 너머 솟구치는 캄캄한 사이프러스, 거기
아무도 없소? 아무도……
------------
"아무도 없소? 아무도……"라고 캄캄한 허공에 대고 불러보는 시인의 육성 같은 마지막 행의 여운이 자못 찡하다. 시인은 "한 고요가 벌떡 일어나 한 고요의 따귀를 때리듯/ 이별은 그렇게 맨발로" 왔다고 썼다. 이별이란 그토록 사건처럼, 음모나 추문처럼, 조용하던 거울이 어느 날 한순간에 박살나듯, 평상심의 고요가 느닷없이 따귀를 맞듯, 그야말로 "맨발로 오"기에 과연 마음 깊이 당혹과 상처를 안겨주는 고통스런 일이다.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과 마지막 유작 '까마귀 나는 밀밭'을 모티프로 하는 이 시는, 제 귀를 자르고, 권총자살로 생을 마감한 화가의 '절대고독'을 빌려, 시적화자의 외로움과 쓸쓸함을 비탄조로 토로하고 있다. 그 심정을 시인은 "외눈박이 외로움이 외눈박이 외로움의 왼쪽 가슴에 방아쇠를 당길 듯 당길 듯"이라는 언술로 타나토스에 아슬아슬 가 닿는다. 시인이시여, "캄캄한 사이프러스"처럼 묵묵히 견디시라!
시인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