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추진하고 있는 기초단체장 여성전략공천 전략이 차질을 빚고 있다. 대구와 경북을 비롯한 전국 16개 시·도당 모두 시한으로 정한 29일까지 여성전략공천지역을 선정하지 못했다. 일부 시·도당은 지역 현실을 도외시한 처사라며 중앙당이 강제로 지정하더라도 따를 수 없다고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여성위원들이 다수 참여하고 있는 공심위 내부에서도 강제적인 여성전략지역 지정을 통한 여성후보 할당제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31일 낮 서울에서 열린 대구지역 의원 오찬모임에서도 여성전략공천지역 선정문제가 화두였다. 이 자리에서 시당공심위원장을 겸하고 있는 서상기 시당위원장은 중앙당의 여성전략공천방침이 확고하다며 지역의원들이 의견을 모아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대구지역 여성전략공천지역으로 거론되고 있는 중구에 대해 배영식 의원(중·남구)은 '중구만 여성후보가 거듭 여성전략지역이 될 수는 없다'는 입장을 강하게 피력했다. 특히 배 의원은 중구를 여성전략지역으로 지정할 경우, 의원직 사퇴도 불사하겠다는 확고한 입장을 다시 한번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지역의원들은 다른 지역도 검토 대상에 포함하자는 이야기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결론을 쉽게 내지 못할 경우 중앙당이 교체지수가 높은 기초단체장 지역을 강제로 여성전략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여성전략지역 선정을 둘러싸고 중앙당과 시도당 및 지역의원들의 입장이 이처럼 엇갈리고 있는 것은 ▷당선가능성이 있는 능력있는 여성후보 수가 한정돼 있는데다 ▷공천신청을 마친 후 여성전략지역을 선정하기로 하면서 순서가 뒤바뀌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지역구 의원 입장에서도 경쟁력이 떨어지는 여성후보를 전략적으로 공천했다가 당선시키지 못할 경우, 차기 총선구도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며 꺼리고 있다.
한 국회의원은 "여성이 없는데도 꼭 공천을 해야 한다면 나중에 선거 실패의 책임도 중앙당이 져야 하며 총선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도 중앙당이 해결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또 경북도당의 사무처 직원도 "여성의 정치 진출이 많아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편안한 비례대표만 하려 하지 지역구 선거에는 나서려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