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銀 총재에 김중수 내정…금리인상 늦어질 듯

입력 2010-03-17 09:40:22

김중수 주(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표부 대사가 16일 신임 한국은행 총재로 내정됐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내정자는 학계, 관계 등을 거치면서 경제 전반에 대한 폭넓은 식견과 경륜을 갖췄을 뿐 아니라 국제적 경험과 안목도 겸비하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또 "합리적 시장주의자로, 한은 업무 수행에 공공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23일 국무회의에서 김 내정자의 한은 총재 임명안을 상정해 의결한 뒤 임명할 예정이다.

김중수 한은총재 내정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 등 출구전략의 시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내정자의 정책적 성향과 경기 회복이 둔화된 현 경제상황을 감안하면 기준금리 인상은 늦춰질 가능성이 높지만 섣불리 예단할 수 없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경기 둔화세가 확연해진 현재 경제상황으로서는 상반기에 금리인상이 쉽지 않다. 통계청 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경기선행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0.3%포인트 떨어져 13개월 만에 하락 추세로 돌아섰다. 또 고용상황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고, 남유럽발 금융위기 등 해외경제의 불확실성도 여전하다. 김 내정자가 신중한 성향을 갖고 있는 만큼 경기상황을 좀더 관찰하고 학습할 시간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신임 총재가 무리하게 경제상황에 역행해서 기준금리를 조정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하반기 중 기준금리 인상시기는 신임 총재의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김 내정자가 오랫동안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근무했고, 이명박 정부의 초대 경제수석을 지낸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저금리 기조에 협조적일 것으로 보인다. 김 내정자는 최근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서 "한국은 인플레에 대한 압력이 그렇게 강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미국, 일본 등 G7 국가들도 아직 출구전략을 시행하고 있지 않고 기본적으로 이런 나라들과 협의를 강화해야 한다" 고 말했다. 한국이 앞서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다만 기준 금리 인상 외에 경기 회복과 유동성 확대를 위해 내놓았던 조치들은 회수될 것으로 보인다. 김 내정자는 기자회견을 통해 "그동안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비전통적인 방법으로 취했던 지급보증 등 많은 조치들을 회수해야 한다"며 "출구전략은 통화정책과 재정, 금융정책이 어우러지는 것으로 동시에 이뤄진다고 말할 수는 없고 순차적으로 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또 기준금리 인상 문제와 관련해 "금융통화위원들과 협의해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앞으로 상당기간에 걸쳐 저금리 기조를 계속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천명하고 정책금리인 연방기금 금리를 현재의 연 0∼0.25% 수준에서 동결했다.

연준의 통화정책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16일 성명을 통해 "낮은 설비가동률과 억제된 물가상승 압력 등은 예외적으로 낮은 정책금리 수준을 상당기간 계속 유지하는 것을 보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