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상식 '텐'] 대구경북 2015년 개최 추진 물관련 국제 행사는?

입력 2010-03-13 08:00:00

♣25회 시사상식 '텐' 정답

1.석송령(石松靈) 2.트리플 러츠, 트리플 악셀 3.닉 부이치치 4.조지 해리슨 5.대체 공휴일제 6.2·28 대구학생의거(민주화 운동) 7.쇼팽 8.콘셉시온 9.고교등급제·기여입학제·본고사 10.뉴욕 양키스

♣지난주 10문제 모두 맞힌 정답자 중 당첨자

◆스파밸리 자유이용권 2명:김청운(대구시 수성구 황금1동) 신봉환(경북 경산시 와촌면) ◆C&우방랜드 이용권 2명:전병태(대구시 달서구 두류2동) 나효신(대구시 달서구 도원동 사계예림미술학원) ◆문화상품권 5천원권 3매(동아백화점 협찬):공영화(대구시 서구 원대2가)

☞응모요령-우편 접수:(700-715) 대구시 중구 서성로 26 매일신문사 특집팀 시사상식 '텐' 담당자 앞. 이메일 접수:cdrom@msnet.co.kr

이번 주 시사상식 '텐' 문제입니다.(3월 3~9일)

1.세계 물의 날(3월 22일)을 기념해 3년마다 한번씩 열리며 물 관련 국제기구, 각국 정부 부처, 지자체, 기업, 전문가, 시민단체 등 3만명 이상이 참석해 100여개에 이르는 물 관련 현안을 논의하는 대규모 국제행사로 대구경북이 2015년 이 대회를 열고자 하고 있다. 이 국제행사의 이름은?(힌트 3월 3일자 2면)

2.하버드대와 케임브리지대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해 '노벨 사관학교'라 불린다. 물리, 화학, 생물, 의학 등 자연과학 분야를 비롯해 경제학, 법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80여개의 산하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는 이 연구기관은? 포항에서 이 연구기관의 한국연구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3일자 10면)

3.인터넷에 블로거가 올린 한두 문장 정도 분량의 단편적 정보를 해당 블로그에 관심이 있는 개인들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새로운 통신방식이다. 현재 이 서비스의 가장 성공한 케이스가 트위터(twitter). 1일 폐막한 2010 밴쿠버 올림픽에서도 젊은이들 사이에 널리 이용된 이 서비스는?(4일자 7면)

4.두살 때 아버지가 정적에게 죽임을 당하고 아버지 친구의 양자로 들어갔으나 그 또한 일찍 사망, 어머니가 재혼한 가문에 맡겨지는 등 불운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하지만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만나게 되면서 불세출의 무사로 거듭난다. 에도 막부의 1등 공신으로 불리는 이 사람은?(4일자 26면)

5.영주 부석사 무량수전보다 더 오래된 목조 건물이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부석사 무량수전은 1370년대에 중수했고, 이 건물은 1363년에 중수했다. 건축기법에서도 무량수전보다 더 오래된 방법으로 추정돼 현존 최고의 목조 건물로 꼽히는 이곳은?(4일자 27면)

6.구소련 국민들은 이 사람을 공포의 대상이자 존경과 흠모의 대상으로 여겼다. 1953년 이 사람이 뇌일혈로 사망했을 때 국민들은 집단 히스테리 증상까지 보였다고 한다. 그의 유해가 안치된 모스크바 노동조합회관에는 조문객이 밀려들어 수백명의 사상자가 났다고 한다. 이 인물은?(5일자 30면)

7.산문집 '무소유'로 유명한 스님이다. 1975년부터 17년간 전남 순천 송광사 불일암에서 지낸 스님은 1992년부터 강원도 산골 오두막에서 홀로 지내오다 현재 병세가 악화돼 위중하다고 한다. 이 스님은?(6일자 2면)

8.귀족 가문 출신이었던 이 인물은 마오쩌둥에게서 자신에게 없는 카리스마를 발견하고 그를 지도자로 추대한 뒤 '영원한 2인자'로 남았다. 역사가들이 '마오쩌둥의 시대에 실제로 중국을 이끈 두뇌는 바로 이 사람이었다'고 평가했는데, 이 인물은?(6일자 10면)

9.1905년 7월 29일 미국과 일본이 필리핀과 조선에 대한 독점적 이익을 갖기로 밀약을 맺었다. 제27대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특사인 이 사람의 이름과 당시 일본 총리의 이름은 따 만든 이 밀약은 무엇인가?(8일자 26면)

10.'아바타'로 유명한 세계적 거장 제임스 캐머런 감독의 전처(前妻)로 더 유명세를 치르고 있다. 제82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이라크전에 참전한 미군 특수부대 폭발물 처리반의 일상을 그린 '허트 로커'로 아카데미 작품상, 감독상을 휩쓴 이 여성 감독은?(9일자 14면)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