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중심·첨단산업단지 도약할 것"
이명박 대통령이 5일 대구시청에서 열린 대구시·경상북도 업무보고회에서 정부 관계자들에게 대구경북연구개발(R&D)특구 지정준비를 지시, 지역의 R&D 특구 지정이 사실상 확정됐다.
또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영남권 신공항 건설, 경북 동해안의 원자력 과학·산업벨트 조성 등 지역의 핵심 현안에 대해서도 이 대통령은 긍정적으로 답변해, 대구경북의 발전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구시의 'R&D특구' 지정 건의를 받고 "R&D 특구는 과학비즈니스 벨트와 연계한 대구경북 지역의 특화된 발전전략으로서 대한민국의 원천·응용·산업 기술의 거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면서 "대구와 광주를 R&D 특구로 지정하는 행정적 준비 작업에 착수하라"고 관계 부처에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R&D 특구가 세워지면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중심지이자 첨단 산업단지로 도약하게 될 것"이라며 "일단 시작하고 나면 큰 기업이 들어오게 된다. 시작이 반이다. 자신감을 갖고 하라"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의 'R&D특구' 조성 예정지역인 대구테크노폴리스, 달성1차산업단지, 성서1~5차산업단지의 기업유치가 탄력을 받고 기존 입주기업에 대한 R&D 지원으로 기업의 연구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와 관련해서도 이 대통령은 "대구경북이 충북 오송과의 경쟁에서 자신감이 결여돼 있는 것 같다. 의료인프라 등 대구경북의 조건이 좋은데 왜 그리 걱정이 많으냐. 잘 준비하고 계획을 만들면 힘껏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시·도는 이 대통령의 언급으로 바이오 및 제약, 의료기기 분야의 대기업 유치에 정부가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영남권 신공항에 대해서도 "정부가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 분석결과가 나오면 발표할 것이다"고 밝혀 6·2지방선거 이후 신공항 입지선정 위원회 구성 등 3개월여의 절차를 거쳐 연말쯤 영남권 신공항 입지가 결정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경북도의 원자력 과학·산업벨트 조성에 대해 이 대통령은 "대규모 원전수출을 계기로 더 필요한 분야가 됐다. 앞으로 각광받을 것"이라고 밝혀 원전 집적지인 경북 동해안의 원자력 산업 육성에 힘을 보탤 것임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찬장에서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울릉군수 등이 배석한 자리에서 "울릉 녹색섬 계획은 좋은 아이디어이기 때문에 열심히 해 볼 것"을 지시했다. 또 대구에서 영천으로 이동하는 버스 안에서 김 지사가 올해 6·25 60주년을 맞아 칠곡에서 영덕을 잇는 호국평화벨트에 대해 보고하자 긍정적 답변과 함께 적극적인 추진을 약속했다.
이와 함께 소프트웨어산업 육성은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도 할 수 있는 분야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고, 올해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맞춰 경주에서 열리는 재무장관 회의 때 대구에서도 하루쯤 대규모 문화행사를 치를 것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범일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국가산단,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지원에 이어 R&D 특구와 원자력 과학·산업벨트 지정 등에 힘을 보태려는 이 대통령의 관심에 감사 드린다"며 "이를 지역 발전의 견인차가 되도록 반드시 성공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춘수·이상헌·정욱진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