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R&D특구 지정"…李대통령 지시

입력 2010-03-06 07:54:40

"SW 중심·첨단산업단지 도약할 것"

이명박 대통령이 5일 대구시청에서 열린 대구시·경상북도 업무보고회에서 정부 관계자들에게 대구경북연구개발(R&D)특구 지정준비를 지시, 지역의 R&D 특구 지정이 사실상 확정됐다.

또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영남권 신공항 건설, 경북 동해안의 원자력 과학·산업벨트 조성 등 지역의 핵심 현안에 대해서도 이 대통령은 긍정적으로 답변해, 대구경북의 발전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구시의 'R&D특구' 지정 건의를 받고 "R&D 특구는 과학비즈니스 벨트와 연계한 대구경북 지역의 특화된 발전전략으로서 대한민국의 원천·응용·산업 기술의 거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면서 "대구와 광주를 R&D 특구로 지정하는 행정적 준비 작업에 착수하라"고 관계 부처에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R&D 특구가 세워지면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중심지이자 첨단 산업단지로 도약하게 될 것"이라며 "일단 시작하고 나면 큰 기업이 들어오게 된다. 시작이 반이다. 자신감을 갖고 하라"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의 'R&D특구' 조성 예정지역인 대구테크노폴리스, 달성1차산업단지, 성서1~5차산업단지의 기업유치가 탄력을 받고 기존 입주기업에 대한 R&D 지원으로 기업의 연구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와 관련해서도 이 대통령은 "대구경북이 충북 오송과의 경쟁에서 자신감이 결여돼 있는 것 같다. 의료인프라 등 대구경북의 조건이 좋은데 왜 그리 걱정이 많으냐. 잘 준비하고 계획을 만들면 힘껏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시·도는 이 대통령의 언급으로 바이오 및 제약, 의료기기 분야의 대기업 유치에 정부가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영남권 신공항에 대해서도 "정부가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 분석결과가 나오면 발표할 것이다"고 밝혀 6·2지방선거 이후 신공항 입지선정 위원회 구성 등 3개월여의 절차를 거쳐 연말쯤 영남권 신공항 입지가 결정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경북도의 원자력 과학·산업벨트 조성에 대해 이 대통령은 "대규모 원전수출을 계기로 더 필요한 분야가 됐다. 앞으로 각광받을 것"이라고 밝혀 원전 집적지인 경북 동해안의 원자력 산업 육성에 힘을 보탤 것임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찬장에서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울릉군수 등이 배석한 자리에서 "울릉 녹색섬 계획은 좋은 아이디어이기 때문에 열심히 해 볼 것"을 지시했다. 또 대구에서 영천으로 이동하는 버스 안에서 김 지사가 올해 6·25 60주년을 맞아 칠곡에서 영덕을 잇는 호국평화벨트에 대해 보고하자 긍정적 답변과 함께 적극적인 추진을 약속했다.

이와 함께 소프트웨어산업 육성은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도 할 수 있는 분야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고, 올해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맞춰 경주에서 열리는 재무장관 회의 때 대구에서도 하루쯤 대규모 문화행사를 치를 것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범일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국가산단,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지원에 이어 R&D 특구와 원자력 과학·산업벨트 지정 등에 힘을 보태려는 이 대통령의 관심에 감사 드린다"며 "이를 지역 발전의 견인차가 되도록 반드시 성공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춘수·이상헌·정욱진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