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쓰나미 등 재해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서둘러야

입력 2010-03-03 10:56:37

지난달 27일 칠레에서 발생한 규모 8.8 강진으로 최소 8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칠레 정부는 500명 이상이 지진해일이 닥친 해안 지역에서 발생했다며 "지진에는 대비했지만 쓰나미에 당했다"고 실토했다. 지진 발생 직후 쓰나미 경보를 즉각 발동하지 않은 실수를 범했다는 것이다.

쓰나미는 태평양 너머 남의 일이라며 안심할 상황이 아니다. 만약 일본 서쪽 근해에서 강진이 발생하면 우리나라도 쓰나미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소방방재청이 일본 서쪽 근해 해저에서 7.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해 우리 동해안에 쓰나미가 들이닥쳤을 경우를 예측해 보니 동해 임원항의 경우 내륙 100m 이상 바닷물이 밀려들어올 것이라고 한다. 삼척항은 오십천을 따라 바닷물이 2.5㎞가량 역류해 삼척시내 부근까지 4m 높이의 물이 찰 것이라고 한다. 가공할 만한 이야기다.

이번 칠레 강진의 여파로 일본 열도는 쓰나미 공포에 떨었다. 일본 정부는 즉각 쓰나미 경보를 발령하고 공영 NHK는 하루 종일 재해 방송을 내보내며 100만 명이 넘는 해안 주민의 대피를 유도하는 등 경계심을 늦추지 않았다. 쓰나미 강도가 예상만큼 높지 않자 일본 정부와 기상청이 "불편을 끼쳐 죄송하다"며 사과까지 했다지만 그냥 웃고 넘길 일이 아닌 것이다.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며 쓰나미 피해를 비껴갈 수 없다. 특히 일본 근해에서 해저 지진이 일어나면 2, 3시간 내 우리 동해안에 쓰나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따라서 정부는 이번 예측 자료를 지자체와 주민들에게 널리 알리고 쓰나미에 대한 경각심을 한층 높여야 한다. 또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을 서두르고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 칠레의 경우처럼 태무심하게 있다 뒤늦게 후회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