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인간의 신비를 재발견하다/제임스 르 파누 지음/ 안종희 옮김/시그
'모든 생물 종이 환경에 적합한 기능과 형태로 진화한 결과 오늘에 이르렀다.'
다윈의 진화론은 인류의 기원을 설명하는 획기적인 이론이었다. 창조주가 며칠 만에 모든 생물 종을 창조했다는 주장이 전 인류를 지배하던 시절, 다윈은 진화론을 전개했고, 갖은 위기와 곡절을 넘긴 끝에 '창조론'을 밀어내고 '진화론'을 권좌에 앉혔다.
창조론이 세상을 지배하던 시절 다윈이 반기를 들고 진화론을 옹립했다면, 이 책은 진화론에 눌려 침묵하고 있는 20세기 위대한 과학적 성과들을 바탕으로, 인간의 신비를 새롭게 설명하려는 시도다. (적어도 책의 서문과 출판사의 소개는 그렇다.)
20세기 말부터 생명과학, 신유전학, 고고학, 지질학 등의 과학 분야는 가히 혁명이라 할 만큼 눈부신 업적을 이루어냈다. 이 결과물들은 권좌에 올라 있는 '진화론'에 더욱 힘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됐다. 말하자면 과학의 발전과 증명이 진화론을 더욱 명확하게 입증해줄 것이라고 예상됐던 것이다.
그중에서도 두드러진 것이 인간게놈 프로젝트와 두뇌 영상 연구였다. 인간게놈 프로젝트는 인간과 다른 영장류를 구별하는 유전적인 근거를 찾아낼 것으로 예상되었고, 두뇌 영상연구는 '활동 중인' 두뇌를 관찰해 인간 정신의 놀라운 특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결과는 예상 밖이었다. 연구는 이중 나선구조에 늘어선 유전자가 어떻게 생명체의 무한한 다양성을 발생시키는지, 두뇌의 전기 자극이 어떻게 인간 정신의 창조성을 만들어내는지에 대해 전혀 입증하지 못했다."
지은이는 이를 근거로 "물질주의 과학의 3인방이었던 마르크스, 프로이트, 다윈이 심판대에 올랐다"고 주장한다. 특히 오랫동안 수많은 사람들에게 설득력이 있었던 다윈이야말로 새로운 평가에 직면해 있다고 본다. 지은이는 '우리가 알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이 존재한다'면서 "우리가 아침에 잠에서 깨어 눈을 뜨고, 사물을 인식하고, 허기를 느끼고, 배를 채워 피와 살로 바꾸고, 아이가 자라 어른이 되고, 신체의 거의 모든 세포들이 조금씩 교체되면서도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너무 단순하게 생각한다'면서 실상 그 과정은 간단치 않으며, 그 안에 엄청난 놀라움, 설명하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고 말한다.
먹고, 자고, 자라는 것이 거의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우리가 '경이로움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지은이는 '우리는 자연의 정교함에 대해 훨씬 많이 이해하고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말하자면 '우리는 더 많이 놀라워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세상 모든 것에 대해 놀라워한다. 의사인 지은이는 의료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은 인체에 대해 전혀 놀라워하지 않는 줄 아는 모양이다. 설마 우리더러 걸을 때마다 '오른 발 내딛었으니 이번엔 왼발, 그 다음엔 다시 오른발이라고 명령하지 않아도 몸이 움직이다니! 자연은 얼마나 오묘하고 감사한가' 라고 경이로워하라는 것일까. 나름대로 흥미로운 책을 쓴 것은 좋았지만, 다윈까지 들먹일 문제는 아닌 듯 보인다.)
지은이 제임스 르 파누는 영국의 의사이자 저술가로 케임브리지 대학을 졸업하고, 1974년 왕립 런던 병원에서 일했다. '영국 의학지', '랜싯', '왕립의학협회지'에 글을 발표했다. 392쪽, 1만8천원.
조두진기자 earfu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