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 조성, 부정적 기류 확산

입력 2010-02-05 10:27:13

대구시 경북도선 '분위기' 알고도 대책 손놔 더 문제

정부가 동남권 신공항(영남권 신공항) 사업 용역 결과 발표와 적지 선정 작업을 지방선거 이후로 미룬 가운데 청와대와 정부 일각에서 인천공항과 동남권 신공항 투포트(Two port)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확산, 신공항 건설 자체가 무산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명규 한나라당 의원(대구 북갑)은 5일 "최근 청와대를 방문해 고위 관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신공항을 반드시 만들어야 하는지 의문스럽다'란 말을 들었다"며 "(신공항이) 안 되면 지역에선 민란이 일어날지도 모른다고 말했으나 되돌아온 답변은 신공항 이야기만 나오면 청와대와 관계 부처 핵심 관계자들은 고개부터 돌린다는 것이었다"고 전했다. 정부 한 고위 관계자도 이날 "청와대 일각에서 인천에 이어 영남권에 대규모 국제공항을 건설하는 이른바 '투포트 전략이 국가 발전 차원에서 맞는 것인지 의문을 갖는 기류가 강하다"고 말했다.

이들은 청와대와 정부에서의 신공항 무용론 확산 기류가 형성되고 있는 것은 ▷가덕도 신공항 유치를 주장하는 부산의 방해에다 ▷대구경북은 세종시 등 특정 사안에만 역량을 쏟아부어 정책적 대처 능력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이 의원은 "부산은 가덕도 신공항 건설 관련 각종 용역에 이어 유치 타당성 논리를 10여년 이상 개발해 무장한 상태"라며 "대구경북은 불리한 상태이지만 밀양 신공항 유치 당위성 등 논리도 부족하고 설득 노력도 게을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 같은 신공항 무산 기류 확산 상황을 대구시와 경북도에 전했지만 아직까지 공개적인 대책회의나 이렇다할 대응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경북 정치권이 분산된 역량을 다시 집결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세종시 수정안을 둘러싼 계파 갈등으로 지역 정치권이 단일대오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는데다 비주류 측에서 정권과 거리를 두는 행보를 이어가 지역 현안 공동 대처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이상득 의원(포항남·울릉)은 최근 정부 부처에 동남권 신공항이란 용어를 영남권 신공항으로 변경토록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남권이라는 명칭은 뉘앙스가 부산 인근 지역과 가깝기 때문에 영남권 5개 시·도의 공동 공항이 돼야 한다는 취지로 영남권이란 단어가 더 적합하다는 판단에서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