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리콜 사태로 세계 1위의 자동차 업체 도요타가 '품질 신화'에 치명상을 입었다. 이번 사태는 비즈니스 세계에서 영원한 1등은 없으며 안주하면 언제든지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되새기게 한다.
대량 리콜을 가져온 가장 큰 원인은 무리한 원가 절감이다. 품질 대비 가격경쟁력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부품 가격의 과도한 인하를 밀어붙이다 보니 품질 경쟁력 저하가 초래됐다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은 우리 완성차 업계의 납품 단가 후려치기 관행에 일대 개선을 요구한다. 산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계열 11개 부품 회사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2003년 8.4%에서 지난해 상반기 9.3%로 개선된 반면 31개 비계열 협력 업체는 4.8%에서 2.0%로 격감했다. 이는 완성차 업계의 과도한 납품 단가 인하 요구가 주 원인이라는 게 협력 업체의 공통된 하소연이다.
리콜 사태의 두 번째 원인은 오만과 방심이다. 리콜을 몰고온 가속페달 결함은 이미 3년 전에 소비자 신고로 문제가 된 바 있다. 하지만 도요타 경영진은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같은 안이함은 세계 최고라는 자부심에 도취된 결과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치된 진단이다.
도요타의 위기는 우리 자동차 업체가 세계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납품 단가 후려치기에 기댄 경영 방식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도요타의 전철을 밟을 수도 있다. 협력 업체와 상생하지 않고 완성차 업체 홀로 살 수는 없다는 것이다. 또 도요타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해외 생산 확대가 가져올 수 있는 허술한 품질 관리 문제에도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도요타 사태는 우리 업체에 기회이자 위기이다. 어느 쪽이 될지는 우리 업체가 어떻게 하느냐에 달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