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이맘때 낙동강 수계에서 발암 물질인 1,4-다이옥산이 검출되면서 대구 지역은 수돗물 파동으로 공황 상태나 다름없었다. 그 끔찍한 파동을 겪은 지 1년이 지났지만 '맑은 물'을 마시고픈 시민들의 염원은 아직까지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동안 정부와 대구시가 이런저런 노력을 했다고는 하지만 피부에 와닿는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대구경북만큼 수돗물로 인해 고통을 받은 곳도 없을 것이다. 1991년 페놀 사태 이후 1994년 벤젠과 톨루엔 검출, 2006년 퍼클로레이트 파동 등으로 잊을 만하면 오염 사고가 잇따라 터져나왔다. '수질 오염의 시험장'이니 '오염 사고의 백화점'이라는 오명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더욱이 낙동강 사업이 시작되면서 공사 과정에서 어떤 수질 오염 사고가 일어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까지 맞고 있다. 지금까지 정부와 관계 당국이 일회적인 땜질식 대책만 내놓고 있어 주민들의 불안을 키우고 있는 게 현실이다.
환경부는 지난해 11월 배출 기준이 없는 다이옥산을 포함한 특정 수질 유해 물질 6개에 대해 수질 기준을 확정해 관리 기준을 강화하기로 했다. 그나마 다행스런 결과이긴 하지만 1,4-다이옥산 배출 허용 기준을 50㎍/ℓ로 완화시켜 논란을 불러오고 있다. 대구경북녹색연합에 따르면 행정기관이 9개 화섬업체들과의 감축 협약 때 맺은 40㎍/ℓ보다 높게 허용하는 법안은 말도 안 된다는 것이다. 옳은 지적이다. 맑은 물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아무리 엄격하게 규제해도 지나치지 않은 것이다.
정부와 행정기관은 현재 진행 중인 완충 저류조 설치 공사에 박차를 가하고, 구미 하수종말처리장 시설 보강 공사를 당장 시작해야 한다.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오염 사고에 대비해 철저하게 점검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계속 내놓아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