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입학사정관제 보완으로 수험생 혼란 줄여야

입력 2010-01-04 10:56:27

올해 대학 입시의 논란 중심에 있었던 입학사정관제가 절반의 성공에 그쳤다. 선발 기준이 개개인의 잠재력과 성장 가능성에도 초점이 맞춰졌지만 내신이나 각종 어학 및 대외 수상 경력이 중요 변수였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입학사정관제의 확대는 수험생에게 2중, 3중 부담이 된 셈이다.

입학사정관제는 그야말로 현재의 실력보다는 자기만의 독특한 세계를 지향하거나 뚜렷한 목표의식과 이를 성취하려는 노력과 의지가 분명한 학생을 선발하겠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성적이나 수상 경력이 중요시됐다는 것은 제도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지난해 초 각 대학이 입학사정관제 대폭 확대 방침을 밝혔을 때 많은 논란이 있었다. 입학사정관의 절대 부족과 심사 기준의 공정성 문제였다. 또 스펙을 쌓기 위해 또 다른 형태의 사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걱정을 낳기도 했다. 이 걱정은 실제로 수험생들의 혼란을 불렀고, 입학사정관 전형에 맞춘 사교육을 출현시키는 결과로 나타났다. 정부는 올해 입시를 입학사정관제 정착을 위한 과도기로 보고 있으나 결국 입학사정관제로 인해 수시, 정시 선발이 줄어들어 일반 수험생은 상대적인 피해를 보았다.

교육은 정책의 성공 여부를 시험하는 곳이 아니다. 그만큼 민감하고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치밀한 사전 준비와 점검으로 실패 요인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내년 입시에서는 입학사정관제 선발이 더욱 늘어난다. 대학 수는 90개에서 105곳으로, 인원은 2만4천여 명에서 3만7천여 명으로 늘어 전체 정원의 10%대에 이르고 매년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드러난 문제점을 철저하게 보완해 수험생들의 혼란을 막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