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명리학] 여성사주도 강해야 한다

입력 2009-04-18 06:00:00

요즘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옛말이 됐지만 '여자가 많이 알면 팔자가 세다'느니, '여자와 그릇은 밖으로 내돌리면 깨진다'는 속담이 있다. 여자는 집안에서 애나 키우고 살림만 잘하면 된다는, 다소곳한 여성을 최고로 쳤던 지나간 한시절의 얘기이기도 하다. 그러고 보면 맞벌이는 생각지도 못했던 '그 시절 그 속담'쯤 되겠다.

현대 남성들은 전문직 여성을 배우자 후보 1순위로 꼽는다. 그만큼 여성들 지위가 향상됐다 할 수도 있겠고, 팍팍한 살림살이가 또 하나의 원인 제공을 했다고 할 수도 있겠다. 어쨌거나 여성들의 사회생활의 폭이 넓어졌다는 것은 틀림이 없다.

사주학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예전엔 여성 사주는 다소 약해야 한다는 게 일반론이었다. 여성 사주를 접하면 가장 먼저, 가장 중요하게 봤던 게 남편을 나타내는 관성(官星)이었다. 아내는 남편을 따라야 한다는 이론이 적용됐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여성 사주가 남편보다 강하면 팔자가 세다고 하여 기피했다. 시대적으로 해석하면 남성 중심적 사고요, 경제적으로 따지면 남자 혼자서도 가정을 꾸려나갈 수 있었다는 게 이유가 될 수 있겠다.

사주가 약하면 주체성, 인내·결단력 등도 약하다. 반대로 강한 사주는 활동적이다. 그러기에 사회생활을 잘 하려면 강한 사주가 일단 유리하다. 대인관계 등 삶에 있어서 진취적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 사주도 강해야 한다.

일전에 이런 문의가 있었다. 아들의 여자 친구 사주에 양인살(羊刃殺)이 있는데 결혼을 시켜도 되겠느냐고. 어느 양반이 여자가 드세니 결혼을 재고하라고 하더란다. 양인살을 가진 사람은 뚜렷한 주관이 특징이다. 하지만 요즘같이 각박한 세상에 자기 주관 없이 어떻게 살아갈 수 있겠나. 사주 해석도 시대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하국근 희실풍수·명리연구소장 chonjjja@hanmail.net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