칡넝쿨과 등넝쿨이
서로 엉겨 뒹구는 걸 본다
나는 그 누구와 단 한번이라도
저토록 껴안아 본 적이 있는가
바람을 안고 위를 향해 올라가는
저 눈물겨운 모습 앞에서
비로소 아름답다 말하리라
서로의 몸이 길이 되고
길을 만들며 나아가는 저 뜨거운 넝쿨도
어둠에 발이 걸려 수십 번 넘어졌을 것이다
넘어질 때마다 길 하나 새로 생겼을 것이다
새벽을 달리면서 어둠 툭툭 털고 나면
케케묵은 나의 관념들이 방뇨한다
곧은 줄기가 햇빛을 더욱 많이 받는다는 걸
새벽 등산길은 내게 넌지시 일러준다
아, 내 몸에 철철 수액이 흐른다
葛藤(갈등)이란 말이 여기에서 나왔다지요. 칡과 등나무가 엉겨 붙어 싸움을 하면 어느 한쪽이 죽어야 비로소 끝이 난다고 해요. 어릴 땐 처첩이 머리끄덩이 잡고 싸우는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었지요. 첩 둔 남자의 그것은 개도 먹지 않는다는 말도 예전에 심심찮게 들었어요. 얼마나 애가 탔으면, 그리고 그 탄 애를 통과한 그것이 얼마나 지독했으면 개도 먹지 않았을까요.
그러니 칡과 등나무가 서로 뜨겁게 엉겨 뒹구는 장면에 던진 부러움의 시선을 거둬야 하겠어요. 하긴 걱정할 필요가 없겠네요. 곧은 줄기가 햇빛을 더 많이 받는다는 걸 이미 깨닫고 있으니. 공기 맑은 새벽 등산길이어서 그런 반듯한 생각이 들었겠지요. 하지만 하산길에도 과연 그럴 수 있을까요. 그럴 수만 있다면 그 사람이야말로 達士(달사)! 평범한 우리는 어둠에 발이 걸리는 갈등 속에서 살아갑니다. 넘어질 때마다 새 길을 하나씩 만들며.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