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국세청, 대곡동 합동청사부지 입주 거부 의사

입력 2008-09-26 09:46:32

대구 정부합동청사 부지가 달서구 대곡동으로 확정됐지만 입주 예정 기관들의 입장은 크게 엇갈리고 있다.

부지가 좁다거나 보안 등을 이유로 입주를 반대하는 기관이 있는가 하면 국가정책인 만큼 '요구조건만 들어준다'면 반대할 이유가 없다는 기관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 기관들은 내심 그동안 독립적인 공간을 사용해온 만큼 공동 사용할 경우 규제가 엄격해지는 등 불편이 예상된다며 내심 입주 반대의 뜻을 내비치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내년 말쯤 착공에 들어가 2011년 준공할 예정인 대구정부합동청사에 현재 입주가 거론되고 있는 기관은 모두 9개. 국세청과 ▷보훈청 ▷조달청 ▷환경청 ▷노동청(북부지청) ▷교정청 ▷공정거래사무소 ▷대구세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부산지원 대구출장소 등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25일 "9개 기관의 입주를 검토하고 있고 각 기관과 협의 과정에 있다"며 "이들 기관의 입주가 아직 확정된 단계는 아니며 각 기관의 특성이나 여건 등을 감안해 다음달쯤 최종 결정될 예정"이라고 했다.

그러나 입주가 거론되고 있는 기관은 벌써부터 술렁이고 있다.

대구지방조달청(달서구 이곡동) 경우 입주 반대의 뜻을 공공연하게 밝히고 있다. 합동청사의 전체 부지는 3만7천여㎡지만 현재 조달청 부지는 1만8천여㎡로 합동청사의 절반에 가깝다. 업무 특성상 비축물자를 쌓아놓는 야적장이나 창고가 있어야 하고, 중장비의 출입이 잦아 이전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조달청 관계자는 "창고 등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합동청사로 이전하면 부지가 너무 협소해진다"며 "행안부에 입주 거부의사를 수 차례 전했다"고 했다.

대구국세청(북구 침산동)도 보안 문제와 공간 협소 등이 예상된다며 불만스런 입장이다. 국세청 한 관계자는 "업무연관성도 없는 정부 산하기관들을 한데 묶어 놓는다고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니고 민원인들이 많은 세무부문은 당장 불편이 예상된다"고 했다.

반면 대구세관(동구 신천동)은 입주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업무 자체가 위치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는 데다, 국가차원의 대규모 사업에 동참하겠다고 했다. 세관 관계자는 "행안부가 세관창고 마련 등 입주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전격 수용해주겠다고 약속했다"고 했다. 현재 세관 건물은 1972년에 준공돼 30년 이상 사용해 오고 있다.

대구환경청(수성구 지산동)은 "아직까지 입주와 관련한 제안이나 논의를 행안부나 본청으로부터 받은 적이 없다"며 이전 기관에 포함됐다는 것조차 모르고 어리둥절해하는 표정이었다.

행안부는 합동청사 완공 후 이전 기관들이 떠나고 남은 부지에 대해서는 해당 부처와 함께 활용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