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가 희귀철새 집단 도래지인 구미 해평습지 일대의 야생동물보호구역 재지정을 추진하면서 주민들의 반발로 진통을 겪고 있다. 구미시는 야생동물 보호를 위해 보호구역 재지정을 추진할 방침이지만 주민들은 재산권 침해를 내세우며 반발하고 있다.
◆해평습지 야생동물보호구역=구미시는 1998년 해평면과 선산·고아읍 일대 760㏊를 야생동물보호구역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이곳은 매년 봄·가을 시베리아에서 일본 이즈미를 오가는 재두루미와 흑두루미가, 겨울에는 쇠기러기와 청둥오리 등이 찾아오는 등 철새들의 낙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공업도시인 구미는 두루미의 중간 기착지가 되면서 국내외 환경 전문가들의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지난 4월 말 야생동물보호구역 지정기간(10년)이 만료된 후 재지정이 미뤄지고 있다.
◆구미시 재지정 방침=구미시는 야생동물보호구역 재지정이 장기간 미뤄지자 '해평·고아읍 일대를 환경부로부터 구미습지로 지정받아 생태공원으로 조성해 관광자원화 한다'는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시는 10월 21~26일 열리는 동북아두루미 네트워크 심포지엄에서 야생동물보호구역 관리 방안과 지역 주민과의 공존 방안을 찾기로 했다. 구미시 최규종(58) 산림경영과장은 "개발과 보존은 항상 상충되는 문제지만 야생동물보호구역을 재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시의 기본 방침"이라며 "생태계의 보물창고로 평가받고 있는 해평습지를 지속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인근 지역 반대하는 주민들을 만나 지속적으로 설득하고 있다"고 했다.
◆주민들은 반발=해평습지 일대 주민들은 "개발이 제한되고 재산권 침해를 받는 등 피해가 많다"며 구미시의 야생동물보호구역 재지정 방침에 반발하고 있다. 해평습지반대추진위원회 최비도 위원장은 "야생동물보호구역 지정으로 인해 도로나 다리 등을 건설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철새의 배설물에서 나는 냄새와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한 직·간접적인 피해를 받아왔다"며 "보호구역으로 지정해 규제하는 것보다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찾아온 철새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했다.
구미·정창구기자 jungc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