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멜라민 공포'가 우리나라에도 상륙,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중국에서 OEM(주문자상표부착방식)으로 만들어진 국내 유명 제과회사의 쌀과자 제품에서 멜라민이 검출된 때문이다.
상당수 국내 가공식품이 중국에서 만들어졌거나 중국산 원료를 사용하는 터라 공포가 커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유가공품 함유 수입 가공식품에 대해 수거검사를 벌인 결과, 중국의 톈진가련화국제유한공사에서 OEM으로 제조한 해태제과 '미사랑 카스타드'(제조일자 2008.07.22, 유통기한 2009.04.21)와 (주)제이앤제이인터내셔널이 홍콩에서 수입한 '밀크러스크'(수입일자 2008.08.13, 유통기한 2010.01.02)에서 멜라민이 검출됐다고 24일 밝혔다.
특히 미사랑 카스타드 제품에서는 멜라민이 무려 137ppm이나 검출됐다고 식약청은 설명했다. 문제가 된 미사랑 카스타드 1봉지를 먹을 경우 18mg을 섭취하게 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허용하는 하루 섭취 멜라민 양은 몸무게 1kg당 0.63mg. 몸무게 10kg인 어린이가 미사랑 카스타드 1봉지를 먹으면 하루 허용량(6.3mg)의 3배 가까운 멜라민을 체내로 빨아들이는 것이다.
우유나 분유가 아닌 2차 가공식품에서 멜라민이 100ppm 넘게 나옴으로써 가공식품으로도 상당량의 멜라민을 섭취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으로 평가된다. 전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중국산 멜라민 함유 분유에선 수십~수백ppm의 멜라민이 검출된 바 있다.
식약청이 확인한 홍콩산 '밀크러스크' 제품에서는 7ppm의 멜라민이 나왔다.
식약청은 이들 제품에 대해 압류조치를 취했으며 긴급회수에 나섰다. 해태제과 제품은 95%가량이 압류됐다고 식약청은 전했다.
식약청은 "대구경북지역을 비롯해 전국의 지방식약청과 시·군·구청에 공문을 보내 관련 제품에 대한 전량 압류가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지역 유통업계의 자체 파악 결과, 대구경북지역 상당수 대형 유통업체에서도 미사랑 카스타드를 24일까지 팔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업체는 식약청 지시에 따라 24일 밤 문제가 된 제품을 전량 매장에서 뺐다.
해태제과 대구지사측은 "미사랑 카스타드는 판매량이 그리 많지 않았던 제품이라 지역에서의 유통량이 많지는 않았다. 남아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전량을 회수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식약청은 멜라민 검출을 계기로 중국산 식품의 안전성이 확보될 때까지 분유 등이 함유된 중국산 식품의 수입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에서는 멜라민 분유 파동으로 21일까지 4명이 죽고 5만4천436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일본은 중국에서 수입한 과자와 반찬류 5가지 상품에 대한 회수조치에 나섰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 멜라민(Melamine)이란?=공업용 유기화합물이다. 접착제, 페인트 제조 등에 사용된다. 멜라민이 몸에 들어가면 급성신부전, 신장결석, 신장·방광암의 원인이 된다. 멜라민의 주원료인 석회질소가 결석을 형성해 세뇨관을 막기 때문이다.
이 멜라민에 포르말린 등 화학물질을 첨가해 만든 플라스틱이 멜라민수지다. 멜라민수지는 밥그릇, 쟁반, 국자, 어린이용 도시락 같은 식기를 만들 때 사용된다.
멜라민수지로 만든 용기를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거나 고온에서 오래 사용할 경우 멜라민이 녹아 나올 수 있다고 우려하는 전문가도 있다. 우리 몸에 있는 색소성분인 멜라닌과는 전혀 다른 물질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