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구미사업장이 국내 대기업 사업장으로는 처음으로 '전사원 금연' 신화에 도전한다. 내년 1월 1일부터 담배연기 없는 완전 금연사업장을 만든다는 게 목표다.
구미사업장의 남자 사원은 6천800명. 사내 금연운동이 시작됐던 2002년 3월 흡연율은 무려 52.9%, 3천600명이 담배를 피웠다. 23일 현재 담배 피우는 남자 사원은 430명, 흡연율은 6.3%에 불과하다. 6년 만에 3천170명이 금연에 성공하는 대기록을 세운 데 이어 쉬지 않고 흡연율 제로화에 나선 것이다.
구미사업장은 이를 위해 23일 '2009 담배연기 없는 사업장 만들기 D-100일' 행사를 갖고 금연 캠페인을 벌였다. 장병조 공장장(부사장)은 흡연사원 가정에 금연 당부 편지를 발송했다. 또 마지막 흡연자로 남은 6.3%의 남자 사원들을 대상으로 맨투맨 책임관리에 들어갔다. 가족과 함께하는 금연 프로그램도 만들 계획이다.
만약 이들이 올 연말까지 금연에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회사가 완전 금연사업장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사내에선 담배를 피울 수 없게 된다.
1천여명의 간부사원들은 지난해 4월 간부사원 흡연율 제로화가 추진된 후 거의 담배를 끊었다. 장 부사장은 하루 3갑씩 피우던 담배를 완전히 끊었고, 끊고 피우길 반복하던 심원환 상무 등도 완전히 끊었다. 한 간부사원은 "10% 이내에 들어야 우수사원으로 평가되는데 흡연자 10% 이내에 들어서면 회사 생활이 힘들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현재 구미사업장은 담배를 피울 엄두가 아예 안 나는 '최악의 흡연환경'이 조성돼 있다. 34개였던 사내 흡연장이 3개소로 줄었고, 위치도 걸어서 10분 정도 가야 하는 사내 최외곽지에 있다. 게다가 자동개폐식 장치를 달아 식사시간대 1시간만 문이 열린다. 그나마 이 사내 흡연장은 내년 초 완전히 없어진다.
사원 7천여명이 생활하는 기숙사 '정담원'은 벌써 지난해 4월 비흡연자 거주공간으로 선포돼 담배를 못 피우는 것은 물론 흡연자들의 거주 자체가 허용되지 않고 있다.
이외에도 비흡연자 우대채용(면접 가산점), 군 제대 후 복직사원의 금연 후 복직 유도 등 다양한 금연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금연업무 총괄부서의 정성철 차장은 "흡연으로 인한 건강 피해, 근무효율 저하, 의료비 증가 등 문제점이 적지 않다는 판단에서 완전금연 사업장 실현을 강도 높게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