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자 하인리히 에두아르트 야콥은 그의 저서에서 "커피가 발견되기 이전 시대에는 소수의 천재들에게나 가능했던 뛰어난 업적을 커피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이와 유사한 업적을 이룩할수 있게 되었기에 한잔의 커피는 그야말로 기적"이라고 찬양하였다. 이 기적같은 커피가 프랑스에서는 카페(Cafe), 미국에서는 커피(Coffee), 일본에서는 고히(コ-ヒ-)라고 불려진다. 그렇다면 카페나 커피가 나올 수 있게 한 어원은 무엇일까?
커피의 어원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으나 커피가 처음 발견된 에티오피아의 지명인 카파(Kaffa)에서 유래하였다는 설과 카와(Kahwa)라는 아랍어에서 유래하였다는 학설이 있다.
카파는 에티오피아에서 커피나무가 야생하는 곳의 지명인 동시에 '힘'을 뜻하며, 희랍어에서 '힘과 정열'을 뜻하는 카웨(Kaweh)와도 연관이 있다고 본다. 커피의 각성 효과 때문에 아랍어의 카파, 즉 힘을 뜻하는 단어로 불려지게 되었고, 오스만제국에서 카훼(Kahweh)로 불려지다 유럽으로 전해지면서 카페(cafe)로 불려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카와(Kahwa)와 관련된 학설은 아랍에서 기운을 돋우는 커피의 효능을 나타내는 뜻을 지닌 카와(Kahwa)로 불려지다가 술(Wine)을 뜻하는 카와(Qahwa)가 되고, 카와(Kahwa)가 오스만제국에서는 카흐베(kahve)로 불렸으며, 이후 유럽 각지로 전파되면서 '카페'(Cafe)로 불려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아랍어 카와(Qahwa)가 원래는 술(wine)이란 뜻으로 쓰였기 때문에 아마도 그 당시 사람들은 커피를 술(wine)로 받아들였다고 풀이한다. 술을 마실수 없었던 이슬람 신자들은 술 대신에 커피를 마시며 '이슬람의 와인'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유럽으로 전해진 후 이탈리아에서는 Caffe, 프랑스에서는 Cafe, 독일에서는 Kaffee, 네덜란드에서는 Koffie, 영국에서는 Coffee로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네덜란드의 영향으로 고히(コ-ヒ-)라고 불려지며, 중국에서는 伽, 러시아에서는 Kophe, 그리고 체코슬로바키아에선 Kava, 베트남에서는 Caphe로 불리고 있다. 에스페란토어로는 kafva, 덴마크에서는 kaffe, 핀란드에서는 kahvi, 헝가리에서는 kave, 체코에서는 kava, 폴란드에서는 kawa, 루마니아에서는 cafea, 크로아티아에서는 kafa, 세르비아에서는 kava, 스웨덴에서는 kaffe, 터키에서는 kahue, 그리스에서는 kafe, 캄보디아에서는 kafe, 말레이지아에서는 kawa로 불린다.
이렇게 세계 각국에서 커피를 지칭하는 명칭들도 오스만제국으로부터 비롯된 카와(Qahwa)라는 아랍어가 어원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슬람의 커피문화가 베네치아 상인들을 통해 유럽으로 건너간 만큼 카와(Qahwa)가 어원이라는 설이 더 설득력이 있다.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커피라는 단어는 영국에서 1650년에 블런트 경이 'Coffee'라고 부른 것이 계기가 되어 미국을 통해서 우리에게 전해졌다. 영국에서는 처음에 아라비아의 와인(The Wine of Arabia)으로 불려졌다.
우리나라에는 고종 황제때 처음으로 전해졌으며, 고종실록에 가배차(茶)라고 기록되어 있다. 가배차라는 단어는 고위층에서 사용되어졌고, 평민계층에서는 가비차 또는 양탕국으로 불려졌다. 이후 역사적으로 일제 강점기와 6.25를 겪으며 가배차라는 우리말은 자취를 감춰버렸고, 미군정의 영향으로 커피라는 외래어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 조상들이 100년 전에 커피를 녹차, 보리차, 약차 처럼 차의 의미로 받아들인 깊은 뜻을 곰곰이 헤아려봐야겠다. '커피한잔' 보다는 '차한잔'이 우리에게는 더 어울리지 않을까.
김영중(영남대 사회교육원 커피바리스타과정강사)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