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은 광역경제권 사업으로 당초 정부에 ▷그린에너지 산업벨트 구축사업 ▷글로벌 의료비즈니스 프론티어벨트 구축사업 ▷모바일·실용로봇 비즈니스벨트 구축사업을 요구했다.
정부가 10일 발표한 대경권 선도산업에는 에너지와 IT(이동통신)가 포함됐다.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와 관련성을 가질 수밖에 없는 의료·바이오부문은 일단 충청권에 돌아갔다.
대경권은 에너지 부문과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IT산업이 선정됐지만 중복산업이 없는 다른 지역(호남권 제외)과는 다소 상황이 다르다.
◆선도산업은 절반의 성공
지식경제부나 산업연구원 등 실무진 선에서 에너지를 호남권에 주자는 분위기에서 그나마 대경권이 에너지산업을 선도산업으로 채택시킨 것은 절반의 성공인 셈.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시·도간 적절한 역할분담과 구미에서 대구, 경산, 경주, 포항으로 이어지는 인프라를 활용한 그랜드 마스터플랜을 정밀하게 마련하고 호남권과 차별화하는 전략을 짜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영남대 이재훈 교수는 "대구권은 에너지분야의 R&D 및 소비·마케팅 허브역할을 할 수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계획, 경북권은 산업기반을 활용한 제조 중심으로 가되 구미, 영천, 경주, 포항 등 권역별로 특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경북도 김호진 도정기획조정 담당은 "에너지산업을 중심으로 향후 호남권과 많은 경쟁을 해야겠지만 대구경북은 앞선 인프라를 바탕으로 명분을 얻어가고 있으므로 지역이 에너지산업을 주도할 수 있도록 전략을 잘 짜야 한다"고 말했다.
충청권의 선도산업으로 의약·바이오가 선정된 만큼 첨단복합의료단지와 한국뇌과학연구원 유치에 올인하고 있는 대구경북은 충청권과 힘겨운 싸움을 벌여야만 하게 됐다. 충청권은 대전의 신약개발 인프라와 충북 오송바이오단지 등을 앞세워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를 위한 100만명 서명운동 등 유치에 전력질주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경권이 첨단복합의료단지의 경우 신약개발, 의료기기, 임상서비스 등 지역 강점 분야를 중심으로 역할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유치하는데 힘쓰고,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을 연계·활용할 수 있는 한국뇌과학연구원 유치에 진력해야 한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인프라는 지역 요구 대거 포함
인프라 부문에선 대경권의 요구가 대거 포함됐다. 지역의 장기 숙원사업이었던 동서5축 고속도로와 동서6축 고속도로는 내륙과 동해안을 연결, 경북 동북부권의 지리적 약점으로 지적돼 온 접근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남북7축 고속도로가 건설되면 동남임해공업벨트와 동해안에너지벨트를 하나의 권역으로 묶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대구 외곽순환도로는 1999년 경제적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돼 무산된 이후 9년 만에 재추진되는 것으로 의미가 크다. 이 도로는 대구 동구 안심과 북구 읍내동 지천 사이 24㎞를 잇는 것으로 대구 도심과 외곽의 접근성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산업단지 조기 착공 가능
노후 도심산업단지 재개발 사업은 도심 외관을 바꿀 수 있는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전국 42개 노후 산업단지 중 대구 제3산업단지와 서대구산업단지를 우선 정비 대상단지로 선정, 재정비 시행방안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제3산단과 서대구산단은 각각 109만4천㎡와 241만7천㎡ 규모로 재정비 사업에는 오는 2014년까지 4조 2천억원(민자 2조800억원 포함)이 투입될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제3산단의 경우 로봇과 모바일 등 신산업을 유치해 도시형 첨단산업 및 비즈니스 공간으로 전환하고 서대구산단은 의료, 스포츠, 패션, 관광산업 및 헬스케어산업 등이 망라된 서비스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할 계획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또 국가산업단지 조성 및 영남권 신국제공항 건설을 위한 후속 논의에도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대구(달성군 구지면 일원), 포항(동해면 장기면), 구미(해평면 금산리) 3곳에 조성되는 국가산업단지는 당초 단지 공식 지정과 토지보상 절차 등을 감안할 때 2010년 이후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정부가 내년에 모두 착공하겠다는 방침을 밝힘에 따라 사업추진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도는 영남권 신공항 건설사업은 입지 선정 문제가 향후 핵심 현안이 될 것으로 보고 관련 지자체와의 물밑협의를 강화한다는 복안이다.
대구시 정풍영 기획담당은 "국가산단 조성과 영남권 신공항 건설은 대구지역이 경제적으로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정부가 재원을 절반은 민자로 조달하겠다고 밝힌 만큼 재원마련 계획 등을 구체적으로 마련해 차질없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