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 직장을 따라 대구에서 살게된 지 어느덧 8년이란 세월이 흘렀습니다.
처음에 시장에 갔을 때 그냥 일반적으로 아줌마들이 하는 말도 싸우는 것처럼 들렸는데
지금은 고향 말씨처럼 포근하고 애교스럽게 들린답니다.
엊그제 고등학교 친구가 보고싶어 전화를 했습니다. "민영아 너 뭐하는데∼"했더니 친구는 "옥실아 너도 이제 대구사람 다 됐다"하는 겁니다.
내친김에 사투리로 "과일 살 때 싱싱한 걸로 살려면 꼬개이 잘 보고 사레이∼" 했더니 친구는 꼬개이가 무슨 말인지 물어보는 겁니다. 꼬개이는 꼭지라는 말의 사투리라고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친구는 생전 듣지도 못한 말을 들어보고 재미도 있고 신기했는지 또 잘하는 대구 사투리 좀 해보랍니다.
난 또 신이 나서 "민영아 너 뭉티이 먹어봤나" "뭉티이가 또 뭔데" "그건 바로 덩어리 고기야. 뭉티이 고기가 얼마나 맛있는지 아나, 내가 사줄 테니까 우리 집에 한번 온나" 했습니다. 나한테 친구는 "너 요즘 어떻게 지내니" 하기에 나는 또 "디다"했습니다. "디다는 말은 또 뭔데?" 디다는 힘들다는 말이라고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우리나라 말인데도 못 알아듣는 말이 이렇게 많을 줄 몰랐다면서 친구와 나는 함께 웃었습니다.
친구는 대구 말이 너무 재밌다면서 자꾸 새로운 말을 알려 달라고 조른답니다.
다음에 친구와 통화할 때는 더 재밌고 정감 있는 사투리로 얘기할 수 있게 사투리 공부를 더 많이 해야겠습니다.
강옥실(대구 달성군 논공읍)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