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시 지좌동 제방, 농업 기준치의 12배
주한미군기지에 유류를 공급했던 한국종단송유관(TKP)이 매설된 11개 지역 23곳의 토양오염 수준이 환경부가 정한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의 경우 김천 2곳, 경주 경산 영천 등 5곳이 포함돼 있다.
14일 육군본부 TKP사업단이 토양오염전문기관인 자연환경연구소에 의뢰해 2006년 9월부터 지난 7월까지 전체 송유관 458㎞ 주변지역에 대한 토양오염실태 조사 결과, 경북 김천시 지좌동의 한 제방에서 석유화학계오염물질총량(TPH)이 5천910㎎/㎏이나 검출됐다. 이는 환경부가 정한 토양오염우려기준 '가'지역(농업) 기준치 500㎎/㎏의 12배, '나'지역(공업) 기준치 2천㎎/㎏의 3배 가까이 되는 수치다.
이밖에도 김천시 덕곡동 한 밭의 TPH가 2천634.1㎎/㎏, 경산시 하양읍 남하리의 한 하천이 2천851㎎/㎏, 영천시의 한 과수원이 647.6㎎/㎏ 등으로 나타나 석유오염물질에 의한 토양오염도가 기준치를 넘어섰다. 경주시의 한 곳은 TPH가 기준치를 넘었지만 시측에서 사유지를 이유로 비공개를 요청했다고 군 사업단 측은 덧붙였다.
토양이 오염된 경북 5곳 가운데 BTEX(휘발유에 포함된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등 4개 성분)가 기준치(80㎎/㎏)를 초과한 곳은 김천 지좌동 한 곳으로 나타났다.
토양오염 지역 23곳 중 전국에서 가장 오염도가 심각한 지역은 충남 천안시 소사리로 TPH가 9천889㎎/㎏로 나타났다. 육군본부 관계자는 "송유관에서 기름이 장기간에 걸쳐 조금씩 유출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며 "해당 지주들과 협의해 올 10월부터 2011년까지 토양오염을 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TKP는 주한미군이 군사기지에 유류를 공급하기 위해 1969~1970년 경북 포항에서부터 경기도 의정부 사이 458km 구간에 설치해 2005년 4월까지 사용됐다.
최병고기자 c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