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북구청이 전국 기초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시도한 건축폐기물 중간처리시설 건설사업이 11년째 표류하다 결국 물거품이 됐다. 폐기물 처리시설 예정부지는 공원으로 남게 됐지만 대구시로부터 시설을 만드는 조건으로 지원받은 30억원은 되돌려줘야 할 처지가 됐다.
북구청은 1997년 부지 13만5천여㎡(4만1천여평), 시설 5만여㎡(1만5천여평) 규모의 건폐물 중간처리장을 지어 하루 2천t을 처리할 수 있는 파쇄시설과 시간당 100kg을 처리할 수 있는 소각시설 등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자연녹지지역 내에 건폐물 처리장 건설 계획이 알려지자 칠곡주민들로부터 거센 반발을 사면서 사업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IMF 전만 해도 4곳에 불과하던 대구 인근의 민간 폐기물 처리시설이 IMF 이후 60여 곳으로 늘어나는 바람에 사업 타당성도 낮아졌다.
북구청은 2000년 말부터 건폐물 처리장의 사업성을 재검토한 결과 채산성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처리장 부지를 모바일 특구, 공공기관 유치, R&D센터 건립 등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뛰어다녔지만 번번이 무산됐다.
예산낭비라는 지적도 면치 못하게 됐다. 현재까지 투입된 사업비는 시비 30억원과 구비 14억여원 등 총 44억여원. 시비는 부지 매입과 조성비용으로, 구비는 진입도로 공사와 기반시설비로 쓰였다.
북구청은 사업타당성이 불투명해 계속 추진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던 2000년 말 이후에도 많은 예산을 투입, '헛돈을 썼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001년에 문화재 발굴조사 및 관급자재 구입에 6억3천여만원을 썼고, 토지·지장물 등 보상금으로 6억7천여만원을 사용했다. 2002년에는 6억4천여만원을 조경·통신·전기공사에, 2003년에는 900만원을 관리동 배수로 공사에 썼다. 지난해에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시설 타당성 및 도시계획 변경 용역에 2천600만원을 들여 'R&D센터 건립'이라는 안을 끌어냈지만, 유치에는 실패했다.
11년을 끌어온 건폐물 처리장은 결국 도시공원으로 방향을 틀었다. 북구청 관계자는 "주민들을 위해 체육시설이나 공원으로 사업을 변경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게 중론이지만 이 경우 시로부터 받은 30억원을 반납해야 하는 게 큰 부담"이라고 말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