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는 대화로 분리된 가족 연결 "의도적인 관심 사랑도 필요해요"
일쌍추안(一雙秋雁). 가을하늘 아래 짝지어 나르는 기러기 떼를 일컬음이다. 마치 단란한 가족이 행복한 한 때를 보내는 모습 또한 이 기러기떼와 다르지 않다. 하지만 기러기는 암수 중 어느 쪽을 잃으면 남은 한 놈이 일생동안 짝을 그리워하며 혼자 지낸다고 한다.
이에 빗대 늘 함께 있어야 할 가족이 떨어져 서로를 그리워하는 모습이 기러기를 닮았다고 그렇게 불려지는 '기러기 아빠'들. 한국 공교육의 맹점에 대한 갈등과 자녀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기대하며 기꺼이 혼자 남기를 선택한 이들이 2007년 기준 약 20여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지난달 24일 오후 7시 대구시내 한 카페에서 현재 기러기 아빠이거나 어린 자녀를 외국에 내보낸 아빠 등 5명을 만나 유학을 보내게 된 사연, 헤어진 가족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 향후 자녀에게 거는 기대 등을 물어봤다.
◇참석자
▷은문수(50)씨. 학원운영. 2004년 아들 정민(당시 중2)군과 딸 수현(당시 초등6년)양을 엄마와 함께 싱가포르에 보냄. 기러기 아빠 4년차.
▷이석용(47)씨. 증권사 지점장. 올 초 딸 수련(중3)양과 아들 동하(초등6년)군을 엄마와 함께 캐나다 킹스턴(토론토 근처)에 보냄. 기러기 아빠 3개월차.
▷김동철(44)씨. UiU 대표. 2003년 초등학교 5학년'4학년이던 두 아들을 엄마와 함께 2년간 미국 스프링필드에 보냄. 현재는 큰아들 혼자서 말레이시아에 유학중.
▷박경환(49)씨. 자영업. 3년 전에 큰 아들(중3)을 중국 상하이 국제학교에 유학 보냄. 엄마가 수시로 중국을 오고 감.
▷최효상(가명'45)씨. 자동차 영업팀장. 2006년 아들과 딸을 엄마와 함께 인도 남부 IT도시인 뱅갈로르에 보냄. 기러기 아빠 2년차.(개인 사정상 실명과 사진 찍기를 사양함)
-외로움이나 여러가지 생활의 불편함을 감수하면서까지 자녀를 외국에 보낸 이유가 있을텐데요.
은=애들이 먼저 가고 싶어 했어요. 특히 딸애는 수학과 언어능력이 좋아 특수목적고를 지망하고 있었는데 키가 작고 운동에 약합니다. 그런데 이 점이 또래 학생들에게 놀림감이 되다시피 해서'이래선 안 되겠구나'하는 생각이 들어 한 1년 정도 고민하다가 외국에 보내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저도 1년 정도 갈등을 안 한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어느 날 밤 12시에 귀가를 했는데 딸과 아들이 아직 학원에서 돌아오지 않은 거예요. 주말엔 애들과 나들이 한 번 가기도 힘들 정도로 공부에만 매달리자 이렇게 키워선 안 되겠다는 마음이 들데요. 심지어 절망감 마저 밀려올 때도 있고. 이러려면 차라리 공부만 잘하는 아이보다는 리더십과 인성을 원만하게 교육시킬 외국이 국내보다 낫다 싶었죠.
김=제 경우는 교편을 잡은 아내가 학생에게 체벌을 한 적이 있는데 이 때 학부모의 항의가 거셌어요. 이에 아내는 차라리 공부를 더해 대학 강단에 서고 싶다고 해서 유학길에 올랐는데 이 때 어학공부를 겸해 두 아들도 함께 가게 됐습니다. 그런데 이젠 애들이 더 바깥에서 공부하고 싶어 합니다. 학생들의 취미활동을 최대한 보장하는 교육시스템이 애들 마음을 사로잡은 거죠.
박=달서구에서 수성구로 이사를 했더니 지역별 학력격차로 인해 어느 날 애가 우는 거예요. 이 나라 교육제도가 결국은 상위 5% 학생을 위해 나머지 95% 학생들은 들러리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가정의 달을 맞아 특히 아내와 자녀들에 대한 그리움이 더 클 것 같습니다만. 주로 어떻게 달래는지요.
은=또래 아이들이 방과 후 귀가하는 모습을 보면 부정(父情)이 솟구치죠. 모임이나 식당에 가도 단란한 가족모습에 아이들이 그립습니다. 하지만 전화통화는 아이들과는 간단하게 하고, 주로 아내와 많은 대화를 나눕니다. 지나친 관심이 아이들에게 공부하는 힘을 약화시킬까 봐 그런 거죠.
이=아직은 시도 때도 없이 보고 싶습니다. 적응이 안된 상태죠.
김=평일은 근무 때문에 잘 모르지만 주말 혼자 있을 때면 많이 보고 싶죠. 여기 있을 때 아이들과 요리도 함께 했는데. 그래서 친구들 계모임 등엔 잘 나가지 않았습니다. 한창 먹을 나이에 회식 때마다 아이들 생각이 나서죠.
박
=외국에서 공부하는 큰 놈이 부모와 떨어져서인지 철이 빨리 드는 것 같아요. 제 동생 걱정이나 가게가 잘 되고 있는지 먼저 안부를 물어오는 편입니다. 늘 애잔한 마음이 들죠.
최=가족카페를 만들어 놓고 매일 1시간씩 아이들과 화상채팅을 즐깁니다. 사소한 일상사도 빠짐없이 이야기하다보면 가족들이 먼 이국땅에 있는 느낌이 들지 않죠. 또 제가 외국을 많이 나가는 편이라 자주 인도에 가기도 합니다.
-아이들에 대한 그리움이 큰 만큼 앞으로 자녀들에 대한 기대도 큰 것 같은데.
은=섣부른 미래는 잠시 보류해 놓은 편입니다. 일단 적응을 잘 하고 있으니 안심이죠. 딸애가 지난해 싱가포르 수학올림피아드에 나가 대상을 받았고 외국인으로서 총학생회장도 하고 있어 보람이죠. 하지만 한국인의 정체성을 갖기 위해 대학교육은 국내에서 받도록 할 예정입니다.
이=구체적인 목표를 결정한 것이 아니고 아이들이 자립적인 삶을 개척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길 원합니다. 국내에 있다면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할 기회가 줄어들 것 아니에요.
김=처음 고교를 배정받고 나서 아들이 학교를 가지 않겠다고 하길래 까닭을 물어보니 자기는 인류학을 공부하고 싶은 데 우리나라 고교에서는 그게 불가능하다는 거예요. 그러더니 스스로 국사검정시험도 치고 이 분야 전문서적을 탐독하는 걸 보고 그럼 네가 하고 싶은 공부를 해보라는 의미에서 유학 보냈습니다. 지금 말레이시아에서 공부하고 있는데 영국 식민령이었던 관계로 이곳에서 공부하면 인류학이 강한 유럽, 특히 영국으로의 진출도 훨씬 쉽다는 군요.
최=바깥에서 보다 많은 견문을 보고 배웠으면 합니다. 국내에 있다보면 우물 안 개구리가 되기 십상이죠.
-최근 우리 사회에선 외로움을 이기지 못한 일부 기러기 아빠들의 자살이나 일탈과 같은 부정적인 모습들이 비춰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생각은.
은=두개로 분리된 가족에게 나쁜 상황이 발생하는 건 대화부재가 제일 큰 원인입니다. 국내와 국외에 떨어져 살면서 어려운 점이 왜 없겠습니까. 하지만 국내와 국외의 어려움을 서로 숨길 필요는 없죠. 외국 유학에 올인(All-In)하겠다는 건 어리석은 짓입니다. 가족 해체의 위기가 있으면 지체 없이 다시 합치면 되는 거죠. 우스갯소리로 자녀를 따라간 엄마들이 머리에 선글라스를 올리고 다니면 끝장이란 말이 있죠.(모두들 웃음)
이=드라마나 매스컴에 기러기 아빠들의 일탈이 보도될 때마다 안타깝죠. 기러기 아빠들이나 일반 아빠들의 일탈비율이라는 게 따지고 보면 그리 문제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괜히 매스컴에서 이를 집중 부각시키는 게 더 문제가 있죠.
-가족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일까요.
은=한 집에서 살면 나쁜 면이 더 잘 보입니다. 하지만 떨어져 보면 낯선 곳, 낯선 언어환경에서 얼마나 고생할까 생각하면 도닥거려 줄 여유가 생기죠.
이=평소 대화가 적었고 아이들에게도 칭찬보다는 꾸중이 많았으나 지금은 대화의 기본자세부터 살가운 정이 솟아납니다. 저 스스로도 그렇게 되도록 노력도 하고요.
김=의도적인 애정과 관심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제 아내는 외식할 경우"아빠가 고생해서 보낸 준 돈으로 우리가 이렇게 맛있는 식사를 한다"는 말을 애들에게 함으로써 일탈이나 비행을 예방하고 학습에 열중하도록 한답니다. 서로가 서로를 챙겨주는 일, 이게 진정한 가족의 힘이지 싶습니다.
우문기기자 pody2@msnet.co.kr
사진 정재호기자 new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李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거론에…국정위 "논의 대상인지 검토"
권오을 보훈장관 후보자, 반환해야할 선거비 2.7억 미납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