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가운 여론…李 대통령 난국 돌파 '깜짝 카드' 가능성
배우자의 부동산 투기 의혹 등으로 궁지에 몰렸던 박미석 청와대 사회정책수석이 결국 낙마(落馬)했다. 논문 표절 의혹에 이어 재산 공개 후폭풍이 자신에게 몰려들자 결국 사의를 표명했다.
이명박 대통령도 28일 박 수석의 사의를 수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질질끌다가는 미국·일본 순방 이후 개혁 드라이브를 강력하게 걸려는 계획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박 수석 외에 곽승준 국정기획수석, 김병국 외교안보수석, 이동관 대변인 등도 위장 전입 또는 농지법 위반 논란에 휩싸여 있는 마당이라 박 수석 경질 카드만으로 여론을 무마하기 힘들다는 판단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당인 한나라당이 2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질 권고'를 할 움직임도 청와대엔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관측이다.
문제는 박 수석 경질로 재산 공개 파문을 잠재울 수 있느냐는 것이다. '부자 내각'에 이어 청와대 수석들의 재산도 장관급에 못지 않은데다 불·탈법 농지 매입 등 재산 증식 수단도 석연치 않아 청와대에 쏠리는 국민들의 시선이 워낙 따갑기 때문이다.
일단 청와대는 박 수석 경질로 파문을 마무리할 분위기다. 여타 수석으로까지 확대시킬 경우 집권 2개월째로 아직 착근조차 하지 못한 청와대가 더욱 흔들려 국정 조기 장악에 실패할 가능성도 없지 않아서다.
대신 이미 국민에게 약속한대로 이 대통령의 재산 사회 헌납 등 새로운 카드로 난국 돌파를 시도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대통령의 재산을 털어 수석 재산 파문을 잠재우는 이른바 이이제이(以夷制夷) 방식이다.
이런 가운데 이 대통령은 26일 한우 농가를 방문하고, 28일 4대그룹 총수를 비롯한 재계 인사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민간경제활성화 회의를 개최해 기업 규제 완화 방안 등을 논의하는 등 민생 챙기기와 경제 살리기 행보를 계속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두고 청와대와 한나라당 주변에서는 "이 대통령은 혼자서 이리 뛰고 저리 뛰는데 청와대 참모진이 너무 못받쳐주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김어준 콘서트에 文·김민석 줄참석…비선실세냐" 野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