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염색공단 120여개 입주업체들이 '잔인한 4월'을 보내고 있다.
최근 원재료가격 폭등에다 증기요금 인상까지 겹치면서 채산성이 급격하게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은 최근 입주업체에 공급하는 증기요금을 기존보일러의 경우 t당 1만9천700원에서 2만8천500원으로 44.7% 인상했다. 또 신설보일러 증기요금도 2만3천800원에서 3만2천600원으로 37.0% 올렸다.
이는 국제유가가 갈수록 오르는 데다 중국 유연탄 가격이 대폭 인상됐기 때문. 최근 유연탄 가격은 t당 120달러로 지난해보다 76.5%나 올랐다. 이에 따라 120개 입주업체에 부과되는 증기요금은 한달 40억원에서 55억원으로 37.5% 가량 추가로 들게 됐다.
염색공단 한 입주업체의 경우 앞으로 증기요금이 한달 1천200만원 정도 추가로 소요된다. 이 업체 대표는 "증기요금만 오르면 버틸 수 있지만 원자재가격이 갈수록 올라가기 때문에 원가절감 노력에도 한계가 왔다"고 말했다.
원재료가격도 갈수록 치솟고 있다. 대구경북염색조합에 따르면 산성블랙염료는 지난해보다 86.5% 인상되는 등 대부분 원부자재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염색업계는 지난달 가공료를 25~30% 올리기로 합의했지만 실제 인상폭은 10~15%에 그치고 있다. 우병룡 대구경북염색조합 이사장은 "염색업계가 살아남으려면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염색공단관리공단 관계자는 "선박운임료가 상승하고 환율이 오르면 추가로 증기요금이 인상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김어준 콘서트에 文·김민석 줄참석…비선실세냐" 野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