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개정된 국적법은 결혼이주 여성들의 국내 정착을 더욱 힘들게 할 소지가 적지 않다. 내년 1월부터 귀화 필기 시험에 합격하거나 총 200시간의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받아야만 한국 국적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 새 국적법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자녀 유무에 따라 귀화 신청 후 평균 1, 2년 지나면 자동으로 한국 국적을 취득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새로운 두 가지 길 외에는 '한국인'이 될 수 없게끔 막아놓았다. 게다가 법무부는 국적 취득 과정을 더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법무부의 개정 취지를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국적을 얻은 이주 여성들 중 상당수가 한국말을 잘 못해 남편에게 맞아도 하소연조차 못할 정도인데다 자녀 또한 학습부진 등이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에 교육문제가 절실하다는 것은 수긍이 간다. 그러나 교육이 문제라면 다른 방법들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고서에 의하면 한국 남자 10명 중 1명은 '외국인 아내'를 맞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이주 여성을 적극적으로 포용하려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해졌다. 매년 외국인 등록증을 갱신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고 한국 국적을 순조롭게 취득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
새 국적법은 이들에게 오히려 상처를 주고 있다. 그러잖아도 한국 귀화 필기시험은 까다롭기로 '악명' 높다. 상당수가 저소득층인 국제결혼 가정의 현실을 볼 때 이주 여성들이 시험 준비나 교육 참여에 여유를 갖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당국은 결혼이주 여성들이 '영원한 이방인'이 되지 않도록 현실적인 대책 보완을 서둘러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