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옮을라" 비상 걸린 경북

입력 2008-04-16 10:07:28

전라도에 이어 경기도 평택에서도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 전국으로 확대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감이 커지면서 양계규모 전국 3위인 경북도에도 방역 비상이 걸렸다.

경북도는 조류인플루엔자가 경북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라도와 접경지역인 김천 부항면, 대덕면과 88고속도로 동고령 나들목 등에 이동통제초소 4곳을 설치하는 등 긴급 방역에 나섰다고 16일 밝혔다.

또 AI 차단 방역용 소독약품 400㎏(1천만원 상당)을 긴급 구매, 김천지역 농가에 전달하고 역학조사를 위해 경주·예천·봉화지역 6개 오리농장에 대한 검사와 이동제한 조치를 내렸다. 이어 가금사육 농장 8천여 곳에 소독을 실시하고 상주·청송 등 민간 도계장에는 가축방역관을 상주시켜 방역상황을 점검하도록 했다.

장원혁 경북도 축산경영과장은 "농장과 외국인 인부에 대한 간이검사에서는 아직까지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태"라며 "16일 상주에서 열리는 '전국 농업기계 전시회'에도 전남·전북 등 AI 발생지역의 참가를 자제토록 협조공문을 발송했다"고 말했다.

농림수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평택 외에도 전북 순창, 전남 여수·나주에서도 15일 AI 의심신고가 접수돼 지난 3일 첫 발생 이후 지금까지 AI 신고의심 사례는 36곳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AI로 판정된 것은 21건이다.

이처럼 AI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자 방역당국과 지자체의 초기 통제가 미흡했던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발생지점 500m 이내의 살처분 조치 후 범위를 확대(반경 3km)하지 않고 처음부터 공격적으로 차단에 나서야 했다는 것. 또 지난 3일 김제에 AI 방역지대가 설정돼 닭·오리의 이동이 금지된 상태에서 일부 유통업자들이 느슨한 감시망을 뚫고 다른 지역을 드나든 사실도 사태 조기수습을 어렵게 만든 원인으로 풀이되고 있다.

한편 농협과 가금류 업계는 16일 AI의 전국적 확산에 따른 소비자 불안 해소를 위해 'AI 배상책임보험'을 NH보험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이 보험은 소비자들이 국가 공인 도축장에서 생산된 닭고기와 오리고기를 먹고 AI에 감염된 사실이 확인되면 최고 20억원까지 보상해준다. 현재까지 가금류 섭취로 감염된 사례는 아직 없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