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접전지 막판 금품살포 경계령

입력 2008-04-07 10:48:23

4·9 총선을 이틀 남겨 두고, 한나라당 후보와 무소속 후보들이 접전을 벌이는 지역의 후보들은 상대 측의 금품살포 경계령에 돌입했다. 중앙선관위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해당 선거구에 감시단을 전격 투입하는 등 비상경계에 들어갔다. 특히 선거가 이틀밖에 남지 않아 이 기간 중 금품살포가 집중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선거 관계자들은 긴장을 끈을 놓지 않고 있다.

경북의 각 후보들은 경주에서 무소속 김일윤 후보에 이어 경쟁 후보 측의 금품살포 사실이 적발됐고 영양에서도 무소속 김중권 후보의 선거운동원 돈 살포 사실이 드러나는 등 등 선거 막바지 금품살포 기세가 심상치 않게 돌아가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접전 지역의 각 후보들은 자체적으로 감시단을 만들어 상대후보의 일거수일투족을 지켜보고 있다. 특히 금품살포가 상대적으로 쉬운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밤과 새벽 시간에 감시망을 집중 가동하고 있다. 경북의 한 후보 측은 "청도군수 재선거가 큰 파문을 낳았지만 금품살포 유혹은 여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특히 청도군수 재선거 이후에는 자금책들에게 '위험수당'까지 더 줘야 한다는 소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중앙선관위도 감시반을 급파하는 등 직접 관리에 나섰다. 중앙선관위는 지난 5일 2명씩 3개반을 편성해 고령·성주·칠곡과 김천, 군위·의성·청송, 문경·예천 등 한나라당과 무소속 후보가 접전을 벌이는 지역에 긴급 투입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이들 선관위 관계자들은 각 후보 캠프를 대상으로 상대후보 측의 동향을 파악하고, 은밀한 감시에 들어갔다. 선관위 관계자는 "경주와 영주, 문경 등에 돈 살포 파문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중앙선관위에서 직접 현장을 감시할 필요성이 생겼고, 지역 선관위의 감시활동을 독려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