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이동건 교수팀 세계 첫 규명…사이언스 주요 논문으로
'우리 몸에는 몸 세포 수보다 10배나 많은 100조 개의 장내세균들이 살고 있다. 그런데 이 장내세균들은 어떻게 면역체제에 대항해 살 수 있을까?' 그동안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간주돼 왔던 이 물음표에 대한 마침표가 찍혔다.
경북대 생명공학부 이동건(42·사진) 교수가 공동저자로 집필한 논문인 '장내세균과 인체의 공생의 비밀'(Innate Immune Homeostasis by the Homeobox Gene Caudal and Commensal-Gut Hutualism in Drosophila)이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한 것.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는 성과를 인정받아 이 교수의 논문은 세계적인 저명 학술지 사이언스 319호(2월 8일자)에 주요 논문으로 실렸다. 따라서 이 교수는 지난해 경북대가 처음 도입한 최고 1억 원까지 지급하는 두 번째 학술장려금 수혜자가 돼 겹경사를 누리게 됐다.
이 교수는 "혈관에 세균이 침입하면 우리 몸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본능적으로 항균 면역체제를 가동해 세균을 색출해 제거하지만 우리 장 속에 살고 있는 100조 개가 넘는 장내세균들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잘 살고 있다."며 "여기에 의문을 품고 9명의 동료와 함께 연구를 해 이 문제를 해결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논문을 통해 우리 장에는 '세크로핀'이라는 항균 펩타이드가 분비되는데, 이 세크로핀은 몸에 해로운 세균은 골라 죽이지만 유산균 같은 이로운 세균은 그냥 놔둔다는 것. 또 세크로핀 분비를 명령하는 단백질인 '코딜'이라는 물질을 처음으로 세상에 알리게 됐으며, 이 코딜이라는 유전자가 우리 몸의 항균 면역체제를 조절해 몸에 이로운 세균들이 장 속에서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게 한다는 것을 규명했다.
이 교수는 또 "인체의 면역시스템인 항체 이전에 외부에서 균이 침입할 때 가장 먼저 반응하는 눈물, 침 등의 숙주방어시스템이 하나 더 있다."며 "이 시스템이 계속 유지하는 이유도 코딜이라는 유전자의 존재로 가능하다는 점을 이번 연구를 통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성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1990년 경북대 미생물학과 학·석사 과정을 마치고 1994년 일본 동경대에서 응용생명공학과 박사 학위를 받은 뒤,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조선대 생물신소재학과 교수를 거쳐 2003년부터 경북대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李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거론에…국정위 "논의 대상인지 검토"
권오을 보훈장관 후보자, 반환해야할 선거비 2.7억 미납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