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인사 6명은 쉽게 의견접근…당내 계파 안배 힘겨루기
한나라당이 24일 오후 공천심사위원회(공심위) 인선안을 확정·발표할 계획이나 이명박 당선인 측과 박근혜 전 대표 측 간에 위원 인선문제를 놓고 막판까지 진통을 거듭, 연기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당내 인사 중에서 임명될 위원 5명과 관련, 이 당선인 측의 이방호 사무총장이 공심위 위원으로 참여하는 데 대해 박 전 대표 측이 거세게 반발하면서 이 총장에 맞서 자신들을 대변할 수 있는 의원 한 명을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날 오전 현재까지 당내 인사 5명 인선과 관련해 합의된 것은 당연직 위원인 강창희 인재영입위원장밖에 없는 상황이다. 반면 외부 인사 6명에 대해선 의견접근이 이뤄져 공심위의 위원장에는 안강민 전 서울지검장, 위원에는 17대 공심위원을 지낸 강혜련 이화여대 교수·이은재 건국대 행정대학원장·김영래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공동대표·장석춘 한국노총 차기위원장·강정혜 서울시립대 교수 등이 포함됐다.
그러나 대구·경북 출신 인사들이 참여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등 권역별 안배 문제는 상대적으로 뒷전으로 밀려남으로써 지역 민심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을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강 대표와 이 총장이 마련했던 인선안 초안에는 당내 인사들로 당연직인 충청권 출신의 강창희 인재영입위원장 외에 이 총장(경남 사천)·이종구(서울 강남갑)·임해규(경기 부천원미갑)·김애실(비례대표) 의원들이 추천돼 있다. 이들 중 이 총장과 임·김 의원 등은 이 당선인 측 인사로, 강 위원장은 박 전 대표 측 인사로 분류된다. 이에 대해 박 전 대표 측은 이 총장의 참여를 문제 삼으며, 임해규 의원 대신 수도권 지역의 자파 의원들인 김영선·유정복·한선교 의원 중 한 명으로 대체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이 같은 요구가 어려울 경우에는 공심위원 수를 11명에서 13명으로 2명 늘려 김성조(경북 구미갑) 의원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 이와 관련, 박 전 대표도 측근인 김무성 최고위원에게 이 같은 요구가 무리한 게 아닌 만큼 반드시 관철시켜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23일 이 당선인과의 회동결과에 만족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과 연관시킬 경우 박 전 대표 측 요구와 인선안 초안을 절충하는 선에서 매듭지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계파 안배에 치중하는 바람에 대구·경북 출신 인사들은 위원 인선 과정에서 배제됐다. 대구·경북을 포함, 영남권의 후보공천 심사를 이 총장이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대구·경북은 지난 대선에서 이 당선인을 압도적으로 지지, 대통령 당선의 견인차 역할을 했음에도 국회의원 후보 선정과정에서는 지역 여론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된 것이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심우정 "형사사법시스템, 국가 백년대계로 설계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