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 7개 광역경제권 추진

입력 2008-01-11 10:20:47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현재 16개 시·도 단위 경제권을 7개 광역경제권으로 나눠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대구·경북의 산업 지형에 일대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최근 산업자원부의 인수위 업무보고에 따르면 현재의 16개 시·도 단위 경제권을 7개 광역경제권으로 나누고 이에 따른 지원 역시 시·도 단위에서 특정 산업의 클러스터가 형성된 전략산업지역을 중심으로 지원하겠다는 것.

예산은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내에 광역경제권 재정을 신설,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위해 산자부 내에 광역경제권추진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다. 광역경제권추진위원회는 과거 행정구역 단위로 이뤄졌던 각종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연구개발(R&D) 투자, 클러스터 투자 등을 광역적 차원에서 재검토해 지원 방안을 강구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규모의 경제가 가능한 광역경제권을 만들고 해당 광역경제권별로 경쟁력있는 특화산업을 키우는 등 국제경쟁을 위한 기본단위로 광역경제권을 육성하겠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 광역경제권은 현재 16개 시·도를 수도권(서울·인천·경기), 동북권(대구·경북), 동남권(부산·울산·경남), 중부권(대전·충남·북), 서남권(광주·전남·북), 강원권, 제주권 등으로 나눌 방침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인수위 일각에서는 광역경제권을 넘어 동북권과 동남권을, 중부권과 서남권을 하나로 묶는 초광역경제권 아이디어도 제시되고 있다.

이와 함께, 산자부는 광역경제권별로 전략산업으로 수도권 IT, 동북권 섬유와 모바일, 동남권 자동차 부품, 중부권 바이오와 IT, 서남권 광산업과 기계, 강원권 관광과 의료, 제주권 관광과 컨벤션 산업 등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위 한 관계자는 "광역경제권 형성은 수도권 팽창에 대응해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의 전략"이라며 "세계적으로 광역경제권 형성이 주류 추세"라고 말했다.

하지만 올해 균특회계가 총 7조 6천억 원에 불과한 점을 감안하면 광역경제권 형성을 위한 예산 확보가 관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편 이명박 당선인은 22일 서울시청에서 열리는 전국시·도지사협의회에 참석해 이 같은 광역경제권 구상을 밝힐 것으로 전해졌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