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부터 한나라당이 총선 공천 문제로 삐걱대고 있다. 이명박 당선인은 어제 라디오 대담에서 '대통령 취임 전 공천 불가' 입장을 밝혔다. 박근혜 전 대표 측이 요구하는 '취임 전 공천'에 대한 공개적 반박이다. 대선에 승리한 세력의 거북살스런 모습이다. 국민을 위해 좋은 정치를 하려는 충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서로 세력을 잃지 않으려 다투는 밥그릇 싸움으로 비칠 뿐이다.
국민이 한나라당에 압승을 안겨 준 이유는 새로운 정치를 해보라고 주문한 것이다. 권력 싸움이 전부인 것처럼 여겨지는 후진적 정치 풍토를 한 번 갈아 엎어달라고 몰표를 던진 것이다. 민생을 제일로 삼는 실용 정치를 요구한 거다. 따라서 한나라당이 머리를 맞대야 할 모습은 그러한 민심에 부합할 정치를 고민하는 것이다. 그게 압도적 지지에 대한 도리이고 향후 5년의 안정적 국정운영을 기대하는 총선 전략일 수 있다.
사실 현재 같은 한나라당한테 새로운 정치를 바랄 수 있을까 싶다. 지난 10년 세월을 따지자면 야당다운 야당 의원 노릇을 한 이가 몇이나 될 것인가. 이 지역 국회의원 가운데 중앙에서 '예산 투쟁' '사업 투쟁'을 죽기살기로 한 사례를 기억할 수 없다. 매번 지역정서에 기대어 배지를 달고 選數(선수)만 불려온 무능하고 무기력한 '식물 의원'이 한둘이 아닌 것이다. 연초 총선 민심 조사에서 현역 의원 대폭 물갈이 여론이 비등한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이런 함량미달들이 단지 박 전 대표 쪽 또는 이 당선인 쪽이라는 이유 하나로 '자동 공천'을 받는다면 새 정치는 날 샌 거다. 누구를 내세워도 별수 없이 한나라당 후보를 찍을 것이라는 오만은 스스로 함정을 파는 짓이다. 그런 실망은 국민의 마음 속에 하나하나 쌓이기 마련이다. 그리고 마침내는 한나라당과 지도부에 부메랑으로 되돌아가는 날이 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