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 방안 논의엔 한계…화합 등 원론수준 언급
한나라당 이명박 대선후보와 박근혜 전 대표의 7일 회동은 대선후보 경선 이후 두 사람이 처음으로 화해의 자리를 마련했다는 의미를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날 두 사람은 국회 귀빈식당 별관에서 오후 3시에 만나 후보 경선 이후 첫 대면식을 가질 예정이나 회동 대부분이 공개리에 이뤄져 내밀한 합의를 끌어내는 데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당초 이 후보가 박 전 대표와의 회동에서 선거대책위원장직을 제의하는 등 구체적인 제안을 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공개 회동에서는 이 같은 요청이 불가능하다는 게 양측의 공통된 관측이다.
이 후보 측근들은 "만약 공개 회동에서 이 후보가 선대위원장직을 제의했다가 박 후보가 난색을 표하든지 미온적인 태도를 보일 경우 이 후보만 우스운 꼴이 된다."며 선대위원장 제의는 불가능하다고 내다봤다.
따라서 이날 회동에서 두 사람이 구체적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이날 회동이 공개리에 열리게 된 것은 박 전 대표 측의 요구 때문. 박 전 대표 측에서는 비공개 회동을 할 경우 이 후보 측이 박 전 대표 거취와 관련해 일방적으로 발표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후보 측에서는 박 전 대표가 공개회동 제의를 통해 형식적 만남에 그치려 한다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박 전 대표 캠프의 대변인을 맡았던 김재원 의원은 전날 박 전 대표와 단독으로 만난 뒤 7일 입장을 전했다. 김 의원은 회동 내용과 관련해 "박 전 대표는 경선 때 '백의종군' 의사를 밝혔기 때문에 이 후보가 어떤 문제를 얘기하면 그에 대한 의견을 말하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또 선대위원장직에 대해서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이 후보가 선대위를 구성해 전국 단위 연설을 다니고 할 때 박 전 대표의 역할이 있는 것이지 지금은 (그런 제의를 하거나 받을)상황이 아니다."고 못박았다. 또 당직 양보에 대해서도 "가져갈 것 다 가져갔지 않느냐."면서 "당 대표가 알아서 할 문제"라고 일축했다.
박 전 대표와 달리 이 후보는 이날 오후 회동을 앞두고 미리 잡혀있던 조찬 약속도 취소한 채 자택에서 측근들과 숙의를 거듭했다. 이 후보 측근들은 이날 회동 전망과 관련해 "이 후보는 박 전 대표의 협조을 끌어내기 위해 원론적 수준의 언급만 하게 될 것"이라 전했다.
이 후보는 이에 앞서 전날 당중앙위원회 전국대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이날 회동과 관련해 "정권교체를 위해 화합하자는 얘기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곤기자 lees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