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폐기물 자원화설비 주민 반대로 '무산'

입력 2007-08-22 10:45:31

지역 섬유·염색업체들의 숙원사업인 '섬유폐기물 자원화설비(섬유폐기물을 소각, 폐열을 이용하는 장치)' 설치가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결국 무산됐다.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에 따르면 지난달 말 인근 주민들 대표로 구성된 건설 반대 추진위원회와 공단 실무진, 대구시 관계자 등 15여 명이 만나 간담회를 갖고 설비 설치를 취소하기로 합의했다. 공단 관계자는 "업체들에겐 꼭 필요한 시설이지만 주민들이 끊임없이 제기하는 민원을 뒤로 하고 건립하는 것은 무리라고 봤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공단 내 섬유업체에서 발생하는 섬유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33억 원(시비 15억 원)을 들여 올해 10월까지 완공하기로 한 자원화 설비 계획은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대신 공단측은 업체들에서 나오는 섬유폐기물을 파쇄해 강원도의 한 시멘트 공장으로 보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시멘트를 고열로 가공할 때 섬유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 또 이 방식은 자원화설비 이용 때보다 업체들의 추가 비용이 많지 않다는 것이 공단측의 설명이다.공단측은 늦어도 다음달까지 대구시로부터 승인을 받아 내년 3월부터 이 방식으로 폐기물 처리를 하기로 했다.

권핵기 소각장 건설 반대 추진위원회 위원장은 "소각장이 아무리 최첨단으로 공해 유발이 없다고 하지만 주민 여론이나 환경 등 여러가지 측면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파쇄를 통한 처리는 인근에 해가 되지 않는 대안으로 판단, 합의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설비 무산 소식에 업체들은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한 섬유인은 "가뜩이나 경기가 최악인 상황에서 자원화 설비 무산은 폐기물 처리 비용 증가로 이어져 업체들의 채산성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서구 비산7동과 비산5동 등 염색공단 인근 주민들은 지난 4월 공단 내 섬유폐기물 자원화설비 설치를 반대하는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대구시와 서구청에 진정서를 제출하는 등 4개월여 동안 반대 운동을 펼쳐왔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