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업 지원정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업 성장주기에 따른 '맞춤형 차별화 지원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구경북연구원 나중규·오동욱 연구원은 20일 발표한 대경CEO브리핑에서 외부 전문가 및 시 공무원을 통한 현장민원 해결, 특정기업군에 대한 포괄적 지원보다 창업(영세기업)→성장(중소기업)→성숙(중견기업) 단계로 나눈 뒤 기업 성장주기에 따른 차별화한 기업지원시스템을 대구시가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현재 '기업현장민원지원제(VJ특공대)', '기업지원담당관제', '스타기업', '천억클럽기업'등의 지원책을 펴고 있지만 포괄적이고도 선언적인 지원책이어서 효율성에 한계가 있다는 것.
연구원들은 R&D 투자, 경영환경 개선, 인력공급, 유통 및 판매선 확보 등 기업별로 애로 요소가 다른 것도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이 필요한 이유라고 밝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정책들을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정책으로 체계화시켜 나가면서 차별화하는 지원방향과 컨텐츠를 찾아야 한다고 두 연구원은 강조했다.
두 연구원은 맞춤형 기업지원시스템을 위해 ▷기업성장 단계에 부합하는 관련기관 간 맞춤형 네트워크 구축 ▷성장단계별 일관 지원체계를 위한 기업지원시스템 매뉴얼(지침) 제작 ▷지원시스템의 사전·사후평기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동반성장을 유도하는 연계정책 ▷수혜기업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 등에 대한 시스템도 마련돼야 한다고 연구원들은 밝혔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