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쳐모여도 간판 바꿔도 '도로 그 인물'

입력 2007-08-02 09:53:36

민주당 사수 가능성…대통합신당 '우리당'판

범여권의 대통합신당 창당작업이 공식 출범을 사흘 앞둔 2일까지도 난항을 거듭, 이 같은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열린우리당과 탈당세력이 대통합을 명분으로 다시 합쳐 시민사회세력과 함께 신당을 창당하고, 통합민주당에서는 열린우리당 탈당파인 김한길 공동대표 세력이 신당 쪽으로 가세하는 반면 과거 민주당 세력은 당 사수를 고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열린우리당의 친노(親盧) 세력 등 당 사수파들이 끝까지 완강한 입장을 고수할 경우 범여권은 민주당·대통합신당(열린우리당 탈당세력)·열린우리당 등으로 갈라설 수 있다.

그러나 연말 대선과 관련해서는 범여권의 단일후보를 선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상황이다. 도로 열린우리당과 도로 민주당이 각각 후보를 선출한 뒤 막판에 후보단일화를 추진하겠다는 전략인 셈.

통합민주당에서는 김한길 공동대표를 비롯한 과거 중도개혁통합신당 의원들이 1일 회의를 갖고 박상천 공동대표 등 당내의 과거 민주당 세력에 대해 대통합 신당 참여를 촉구한 뒤 신당 창당일인 오는 5일 이전까지 수용하지 않을 경우 집단 탈당키로 결의했다.

중도개혁통합신당 의원들은 20명으로, 이들이 전원 탈당하게 되면 통합민주당은 이전의 민주당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게다가 김홍업 의원 등 민주당 출신 의원 5명이 앞서 탈당한 탓에 민주당 의석은 8석으로 급감하게 된다.

중도개혁통합신당 측의 경우 지난 2월 열린우리당을 집단 탈당한데 이어 5월 독자 정당을 창당했으나 한달후 민주당과 합당, 중도통합민주당을 창당했고 또다시 통합민주당을 탈당하게 되는 것.

박 대표를 비롯한 민주당측은 신당 합류문제와 관련, 다시 강경 입장으로 돌아서고 있다. 민주당측은 1일 "민주당이 참여하지 않는 데도 신당이 굳이 '민주당'을 넣어서 이름을 짓고 싶으면 '짝퉁 민주당'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비꼬았다.

한편 1일 열린우리당의 이해찬·한명숙 전 총리와 김혁규·신기남 의원, 김두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 등 대선주자들도 회동을 갖고 정세균 당의장에게 대통합 논의 과정에서 당의 입장을 적극 제시하고 강하게 밀고 나갈 것을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열린우리당의 해체와 개별합류를 요구하는 민주당을 겨냥해 당 대 당 통합방침을 고수하라는 요청인 셈이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