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 폐암 수술을 받았던 박모(50) 씨는 한 달 두통이 있어 병원에 갔다. 자기공명영상(MRI)으로 뇌 촬영을 한 결과, 암이 뇌로 전이된 사실을 알게 됐다. 뇌에는 이미 세 곳에 암이 자라고 있어 수술이 불가능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의학의 발달로 암 환자의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암이 뇌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특히 뇌의 여러 곳에 암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술이 불가능해서 약물이나 방사선 치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감마나이프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길이 열렸다.
◇감마나이프 수술이란?
감마나이프 수술은 머리(두개골)를 열지 않는 무혈(無血) 뇌수술 방법이다. 돋보기가 햇빛을 한 곳에 모아 종이를 태우듯 감마나이프는 201개의 코발트에서 나오는 방사선을 한 곳에 집중시켜 주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원하는 부위의 종양이나 혈관기형을 치료하는 수술 장비이다. 메스 대신 방사선을 이용한 수술이다. 뇌의 경우 외과수술로 접근이 어려운 곳에 있거나 병소가 여러 개 있어 수술이 불가능할 때 활용된다. 이 수술은 건강보험 적용을 받기 때문에 외과 수술비용과 큰 차이가 없다. 감마나이프수술은 경북대병원 등 전국 12개 대형병원에서 가능하다.
◇지름 3cm 이하 혹이 수술 대상
감마나이프는 전이성 뇌종양에 있어서 병소(암세포가 침범한 곳)가 한 개일 때는 물론, 병소가 여러 개일 때에도 그 위치에 상관없이 한 번의 치료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감마나이프는 마취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외과 수술을 견디기 힘든 환자에게도 수술의 위험성이 없으며 고통도 따르지 않는다. 또 한나절만 치료를 받으면 곧 퇴원할 수 있다. 또 방사선 치료나 외과적 수술을 받으면 당분간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를 중단해야 하지만, 감마나이프 수술은 다음 날부터 이런 치료를 계속할 수 있다. 다만 병소가 크다면 주위 뇌에 방사선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수술 대상을 보통 지름 3cm 이하의 병소로 제한하고 있다.
◇수술은 이렇게
수술 과정은 간단하다. 먼저 병소의 위치를 좌표로 계산하기 위해 프레임이라는 장치를 머리에 고정시킨다. 땅을 측량할 때 장대를 세우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프레임은 두피에 국소마취를 한 뒤 핀을 이용해 머리에 고정한다. 이런 뒤 환자는 MRI나 CT 촬영을 하며, 이 사진을 근거로 해 컴퓨터에서 병소의 좌표를 찾아낸다. 좌표 계산이 끝나면 의료진은 그 결과에 따라 감마나이프로 환자를 수술한다. 이 때 환자는 어떤 고통이나 이상을 느끼지 못하며, 의료진은 모니터를 통해 환자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수술 대상 질환
전이성 뇌종양을 비롯해 거의 모든 뇌종양과 뇌혈관질환, 파킨슨병이나 통증 등 기능적 질환이 대상이다. 신경 주위를 싸고 있는 막에 생기는 혹인 신경초종은 물론 최근에는 간질치료에도 쓰이고 있다.
김교영기자 kimky@msnet.co.kr
도움말·황성규 경북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