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대통령-DJ 결국 손잡을까?

입력 2007-05-30 10:24:09

노무현 대통령과 김대중 전 대통령(DJ)은 대선 정국에서 과연 손을 잡을 수 있을까?

범여권 통합문제와 맞물려 이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이 커지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걸림돌도 적잖아 보인다. 무엇보다 두 사람은 연말 대선에 일차적인 관심을 둘 수 있는 반면, 범여권의 정당(정파)들은 내년 봄 총선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처지이기 때문.

결국 두 사람이 협력을 위한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해도 범여권 전체의 복잡한 정치적 득실계산으로 한계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DJ가 최근 '훈수 정치' 비난을 무릅쓰면서 범여권의 대선주자와 당 대표들을 잇따라 만나 대통합을 역설했지만 찬반 논란에 휩싸였다. 열린우리당과 탈당세력들은 전반적으로 공감하고 있는 데 반해 민주당은 비판적인 것.

총선을 염두에 둘 경우 열린우리당과 탈당세력들은 범여권의 대통합을 통해 변화를 모색해야 하며, 특히 여권의 전통적 텃밭인 호남권 의원들은 이곳에서 맹주로 재부상하고 있는 민주당에 대한 견제에 주력해야 하는 것이다.

민주당의 경우 박상천 대표 등 원외 인사들이 전면에 나서 호남권에서 지지세를 확산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원내 인사들 중심의 대통합에 부정적이며 자신들 중심의 소통합론을 고수하고 있다.

때문에 열린우리당에서 당 지도부의 임기가 끝나는 다음 달 14일을 전후해 이뤄질 추가 집단탈당 움직임은 대통합을 지향하고 있지만 소통합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높다.

범여권의 대통합이 현실화되기가 쉽잖은 것이다. 노 대통령이 최근 대세를 따를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기도 했으나 기본적으로 지역주의적 통합에 부정적인 소신을 갖고 있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다.

결국 범여권이 2, 3개 세력별로 후보를 정한 뒤 최종적으로 후보 단일화를 추진하는 김대중·김종필(DJP) 혹은 노무현-정몽준 방식이 재연될 가능성이 적잖다.

노 대통령과 DJ도 이와 관련된 발언을 했으며, 범여권의 이해관계에 따라 절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범여권의 당초 대선 시나리오설과도 유사하나, 선거전 막판에 세력 간의 대통합은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이 달라졌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