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29일 광주서 전국순회 정책비전대회 시작

입력 2007-05-28 10:45:56

한나라당은 29일 광주에서의 경제분야 토론회를 시작으로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 홍준표·원희룡·고진화 의원 등 경선출마 후보들의 정책을 검증하는 전국순회 정책비전대회를 네 차례 개최한다.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는 토론회 초반에 기선을 제압하기 위해 전략마련에 분주한 가운데 홍 의원은 28일 경선출마 기자회견을 갖고 당의 혁신을 주장하며 자신의 정치철학 홍보에 이번 토론회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는 등 경선 출마자들의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박근혜 전 대표는 이번 정책비전토론회에 각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국민의 관심이 29일 1차 광주 경제부문 토론회와 다음달 28일 4차 종합토론(서울개최)에 집중될 것으로 보고 지지율 반전의 계기로 삼는다는 방침이다.

그는 28일 지지를 선언한 '한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한미준)' 간부들과의 면담을 제외하고는 당초 예정됐던 교육정책 간담회를 연기하는 등 하루 종일 토론회 준비에 박차를 가했다.

앞서 지난 26일 캠프 사무실에서 정책참모와 외부 자문교수들과 연구를 하며 예상 쟁점 사항을 점검했던 박 전 대표는 27일 부산에서 상경한 뒤 최경환·유승민·유정복 의원 등 측근 전문가 그룹과 준비를 계속했다. 김병호 의원이 주도하는 TV토론팀은 박 전 대표에게 TV 토론 현장 대처법 등을 조언했다.

박 전 대표는 이번 토론회에서 각종 경제 수치를 대면서 자신의 감세정책과 규제완화정책 등을 홍보할 방침이다. 또 '줄·푸·세'운동(세금·정부규모 줄이기, 규제풀기, 법질서 세우기)이나 대통령의 리더십으로 2% 추가성장을 달성할 수 있다는 '5+2% 경제성장론'등을 제시하면서 경제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과시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콘텐츠 부족'이란 세간의 오해도 씻는다는 복안이다.

이 전 시장의 한반도대운하에 대해서는 홍준표·원희룡·고진화 의원 등이 공격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박 전 대표는 되도록 논쟁에 끼어들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자칫 한반도대운하를 홍보하는 결과를 초래할지도 모르기 때문.

캠프 관계자들도 이번 토론회의 중요성을 감안, 이날 대거 광주로 이동한다. 캠프 한 관계자는 "이번 토론회를 반전의 기회를 삼아야 한다는 의견이 강하게 나온다."고 말했다. 그만큼 기대가 크다는 얘기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첫날 토론회 주제가 자신의 전공인 경제분야인 점에 안도(?)하고 실물경제 노하우를 최대한 발휘해 기선을 제압한다는 계획이다.

배용수 공보팀장은 28일 "첫날 주제가 경제분야인데 지금까지 보여왔던 경제 대통령의 모습을 제대로 보여줘 (박근혜 전 대표와) 차별화시키는 계기로 만들겠다."며 "경제 현장에서 겪은 것을 예로 들어가면서 본인의 능력과 추진력, 국민적 신뢰성을 높여 갈 것"이라고 말했다.

토론회 준비를 위해 이 전 시장은 지난 주말 안국포럼 사무실에서 직접 실무진과 정책 자문단을 소집해 수차례의 대책회의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서 후보자 간 토론시간에도 상대방을 난처하게 만드는 질문보다는 후보 각자가 갖고 있는 정책적 비전과 전략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질문하는 전략을 세웠다.

또 TV로 생중계되는 점을 감안해 서울시내의 한 가상 스튜디오에서 캠프 내 방송전문가들의 조언을 받아 실전연습을 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이 전 시장은 기선제압 차원에서 지난 27일 대규모 정책 자문단을 발표하기도 했다. 10개 분야에 걸쳐 총 114명에 이르는 규모다. 경제·경영분야는 곽승준 고려대 교수 등이며 특히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과 가까운 오성환 서울대 교수가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한반도 대운하와 관련해서는 조원철 연세대 교수 등 12명이, 외교·안보 분야는 현인택 고려대 교수, 김우상 연세대 교수 등 8명이 포함됐다.

이 전 시장의 정책자문단은 총 400여 명으로 알려져 있다. 캠프 측에 따르면 이르면 이달 말 국책연구소 연구원과 지방대 교수 중심으로 100여 명 규모의 정책자문단 명단을 추가로 발표할 예정이다. 선관위 경선 등록 이후에는 16개 시·도별 공약을 발표한다. 대구·경북을 비롯한 전국 시·도별 정책전문 자문단 명단도 함께 공개할 예정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