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폐기물 자원화설비' 무산 위기…업체들 울상

입력 2007-05-11 09:27:57

지역 섬유·염색업체들의 숙원사업인 '섬유폐기물 자원화설비'가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공사를 시작하기도 전에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은 공단 내 섬유업체에서 발생하는 섬유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공동 처리시설을 짓기로 하고 33억 원을 들여(시비 15억 원) 올해 10월까지 완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대구 서구청은 지난달 말 염색공단으로부터 설치신고를 받았지만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처리하지 않고 있다. 서구청 관계자는 "통상 8일 안에 신고 처리를 해야 하나 주민들이 대구 서구의회에 진정서를 넣는 등 완강히 반대하고 있어 사태가 해결될 때까지 유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구 비산7동과 비산5동 등 주민들은 지난 2일 '소각장 건설 반대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반대운동을 벌이고 있다. 권핵기 위원장은 "지금까지 공단 내에서 나오는 각종 먼지나 환경오염 물질 때문에 인근 주민들의 피해가 극심했다."며 "이 같은 상황에서 또 혐오시설인 소각장을 건립하는 것은 묵과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위원회 측은 최근 서구의회에 2천800명의 서명을 받은 진정서를 제출한 데 이어 추가서명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함정웅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이사장은 "설치 예정인 자원화설비는 성서공단 소각장에 비해 60분의 1 수준으로 작고 소각에서 배출까지 여러 차례 여과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대기오염이 없는 친환경 자원 재활용 시설"이라고 밝혔다. 또 주거지역에서 1㎞ 이상 떨어진 공단 내 공동폐수처리장에 건설되기 때문에 아무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특히 업체들은 지난 2월부터 대구시가 섬유폐기물을 위생폐기물 처리장에 반입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이전보다 최고 3~4배 비싼 비용으로 섬유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는 실정으로 섬유페기물 자원화설비 설치가 늦어질 경우 비용 부담을 감당할 수 없다는 것.

공단 내 한 섬유업체는 "과거 시 위생매립장에 처리할 때는 한 달에 5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들었지만 지금은 개별 위탁업체에 처리를 맡기면서 한 달에 100만 원의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