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곳곳에 공룡처럼 솟아나 있는 신축 초고층 아파트에 하나둘씩 불이 켜진다. 어둠 속에 웅크리고 있던 것이 불빛 하나씩 늘어날 때마다 조금씩 생기를 찾는 듯하다.
이사철이다. 곳곳에 우후죽순처럼 돋아나 하늘을 찌를 듯 높이 서있는 아파트마다 불빛으로 가득 차려면 이사철도 따로 없을 성싶다.
번거롭고 힘들기도 하지만 이사는 나른한 생활에 새로운 활력소가 되기도 한다. 새로운 장소에서 낯선 풍경과 낯선 사람들을 익혀가는 것 자체가 가벼운 스트레스이자 설렘도 안겨준다.
남이 살던 집으로 옮겨갈 때 우리가 흔히 겪는 신고식이 있다. 먼저 살던 사람이 남겨둔 이사 쓰레기를 치우는 일이다. 대충이라도 치우고 간 집은 양반이다. 엉망진창으로 해둔 채 떠나버린 얌체족들이 부지기수다. 깨끗이 쓸어두면 이사 들어오는 사람에게 복이 없다나 뭐라나. 타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사람들의 핑계거리 같기만 한데….
나희덕 시인의 글 '이사, 집의 기억을 나누는 의식'에 마음 씀씀이가 남다른 한 부부의 이야기가 나온다. 신물이 날 지경으로 이사를 많이 했다는 그는 최근 이사한 집의 전 주인 부부로부터 편지 한 통을 건네받았다. '이 땅의 집이 영원한 집이 아니라고 믿고 있습니다.'라는 서두 아래 각 방의 특징과 주의사항이 자세히 적혀 있었다. '베란다의 창문 틈새 중 모기가 잘 들어오는 곳이 어디어디라든지, 다용도실의 배수구에서 나는 물소리가 처음엔 거슬리겠지만 나중엔 산중의 물소리처럼 느껴질 것이라든지, 어느 방은 문을 여닫을 때 특히 조심하라든지….' 자기들도 이사를 하느라 경황이 없었을 그 부부가 다음에 살 사람들을 위해 이토록 섬세하게 마음 써 주었다는 사실에 시인은 감탄을 금치 못했다. '집을 매개로 서로의 경험과 기억을 공유한다는 것을 참으로 오랜만에 누려보는 행복'이라고도 했다.
한 재미난 실험에 따르면 전 세계의 누구라도 6단계의 사람들을 거치면 연락이 닿을 수 있다고 한다. 한국은 더 좁혀질 수밖에 없다. 한마디 꺼내놓고 보면 모두가 사돈의 팔촌 정도는 되니까. 사람과 사람 간의 물리적 거리는 이토록 좁아지는데 정작 함께 나눌 수 있는 마음의 거리는 오히려 멀어지는 게 문제다. 심지어 가족 사이에서도…. '가정의 달'이다. 서로간에 함께 나눌'경험'과'기억'-'마음의 사진'을 찍을 기회를 많이 가지면 좋겠다.
전경옥 논설위원 siriu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