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의 오늘-어버이날 제정

입력 2007-05-08 07:44:34

"어버이 살아실 제 섬기기를 다하여라/ 지나간 후면 애달프다 어이하리/ 평생에 고쳐 못할 일 이뿐인가 하노라." 조선 중기 가사문학의 대가 송강 정철이 지은 시조. 부모님이 세상 떠난 뒤 후회해봐도 소용 없으니 생전에 효도를 다하라는 가르침을 준다. 1973년 5월8일 첫 어버이날을 맞았다. 1956년 국무회의를 통해 해마다 5월 8일을 '어머니날'로 정해 17회까지 시행한 뒤, 1973년 3월 30일,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6615호)에서 어버이날로 개칭해 현재까지 시행해 오고 있다. 범국민적으로 효사상을 전파하고 전통 가족제도의 장점을 계승 발전시키며, 사회와 이웃에 모범자를 발굴해 격려해 오고 있다.

어버이날은 원래 사순절의 첫날부터 넷째 주 일요일에 어버이의 영혼에 감사하기 위해 교회를 찾는 영국·그리스의 풍습과, 1910년경 미국의 한 여성이 어머니를 추모하기 위해 교회에서 흰 카네이션을 교인들에게 나눠 준 일에서 비롯됐다. 이후 1914년 미국의 제28대 대통령 토머스 우드로 윌슨이 5월의 둘째 주 일요일을 어머니의 날로 정하면서부터 정식 기념일이 된 후 지금까지 미국에서는 5월 둘째 주 일요일에 어머니가 생존한 사람은 빨간 카네이션을, 어머니가 죽은 사람은 흰 카네이션을 가슴에 달고, 가정에서는 자녀들이 어머니에게 선물을 한다.

▶ 1955년 서울 첫 동장선거 ▶ 1948년 세계 적십자의 날 제정.

정보관리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