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사생활은 항상 두 가지 측면이 상충한다. 공인으로서 사생활의 공개는 불가피하다는 것과 아무리 그래도 하나의 인격체로서 프라이버시는 지켜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 '권상우 몰카' 사건은 이같은 '이중성'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권상우는 지난 이틀간 천당과 지옥을 오갔다. K군의 섹스 몰카 사진이 유출됐다던 23일에만 해도 커다란 충격에 휩싸였다. 참담한 심정은 물론, 당장 진행 중인 사업에 중대한 차질을 초래할 수 있었다.
다행히 다음날 곧바로 문제의 범인이 자수해 오면서 상황은 급반전됐다. 자신에게 쏟아지던 의심과 비난의 화살이 따뜻한 위로의 메시지로 바뀌었다. 권상우 측은 "그저 황당할 따름이다. 정말 굿이라도 해야 할 판"이라며 분을 삭였다.
드라마 '파리의 연인' 이후 한동안 안방극장에서 모습을 감췄던 박신양도 최근 괴소문에 가슴을 쓸어내렸다. 얼마전 운동을 하다 손목을 다쳐 병원을 찾았는데 그만 이것이 병원 입원과 자살 소동으로 번진 것이다.
김주혁의 연인 김지수도 자신들에게 집중되는 외부의 시선에 부담을 드러낸 바 있다. 잇따라 멜로 영화에 출연한 김지수는 "남녀 연인끼리 데이트하는 건 스타라고 별반 다를 게 없다. 지나친 관심과 소문이 때론 부담스러울 때가 있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그렇다면 과연 그들의 사생활 공개는 어디까지 가능한 것일까?
문제의 핵심은 '어디까지'보다는 '어떻게'에 달려 있다.
스타의 사생활은 모두의 관심사다. 그들이 뭘 입고 먹는지, 어떤 집에서 사는지, 그리고 누구랑 만나고 사귀는지는 매우 호기심을 자극하는 이슈들이다. 정보를 공유하는 차원에서 사실과 확인에 근거해 공개되면 설득력을 가진다. 설령 그것이 '폭로' 수준이라도 널리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확인되지 않은' 사실, 원천을 알 수 없는 루머가 문제다. 이것이 불거졌을 경우, 이는 폭로가 아니라 가히 '테러'다. 권상우의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호기심으로 받아들인 루머가 자칫 스타 개인의 인격을 심각히 훼손할 수 있다.
인터넷의 발달로 특히 이런 우를 범할 가능성이 커졌다. 엄청난 처리속도와 방대한 망 속에서 루머는 아무런 제재없이 위험스럽게 확대되고 재생산되고 있다.
속도를 줄여야 한다. 정보를 소비하는 사람이 걸러야 한다. 그리고 이를 처리하는 사람들도 자정 능력을 키워야 한다. 아니면 아예 건드리지 않는 게 상책이다.
스포츠조선 김인구기자 clark@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정청래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 곧 장관님 힘내시라" 응원 메시지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